서갑원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오른쪽 두번째 선 이)와 민주당 의원들이 7일 오후 국회 문방위 국정감사에서 고흥길 위원장(한나라당·앉은 이)에게 “왜 와이티엔 노조원 해고 사태에 대한 진상조사위 구성 요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회의를 진행하느냐”고 따지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한나라 반대로 국감 파행
<와이티엔>(YTN)이 노동조합원 6명을 해고한 사태와 관련해,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와 사장 재선임을 각각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당 의원들은 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문방위) 국정감사에서 국회 차원의 ‘<와이티엔>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거나 국감 일정을 늘려 와이티엔 사태를 집중 질의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고흥길 위원장과 한나라당 쪽이 반대하면서 여야간에 고성이 오갔고, 결국 감사 시작 36분 만에 감사가 중단됐다. 감사는 오후에 속개됐지만,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서로 국감 파행 책임을 물으며 갈등을 빚었다.
자유선진당은 이날 성명을 내어 “원인 제공자인 정부와 구본홍 사장이 사원들에게만 책임을 묻는다면 적반하장”이라며 “이제라도 투명한 절차를 통해 전문성과 도덕성을 겸비한 인사를 사장으로 재선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전병헌·천정배·이종걸 의원 등 민주당 의원 8명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5공 독재시대로 돌아가지 않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과 함께 방송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언론단체들도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언론개혁 시민연대는 “이명박 정권의 낙하산 저지 투쟁은 독재정권의 폭거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하는 거대한 투쟁으로 확산될 것”이라며 해고와 징계철회를 주장했다.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도 성명을 내어 “한국언론 사상 1980년 신군부의 저항 언론인 강제해직 이후 최대 규모의 언론인 학살”이라고 비판했고, 한국기자협회도 “파업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 사장 사퇴를 요구해 온 기자들에게 펜을 빼앗는 극단적인 조처를 취한 것은 최초의 일로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와이티엔 노조는 이날 오전 조합원 12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남대문 와이티엔 본사 후문에서 구본홍 사장 출근저지 투쟁을 벌였다. 그러나 구씨는 출근하지 않은 채 이날 낮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마련한 별도 사무실에 나타났다.
최혜정 송호진 김동훈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