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기용 추진력 높여야” 청와대·내각 개편 가능성
교육과학기술부와 국세청 1급 10명의 일괄사표 제출을 계기로, 고위 공무원 ‘물갈이’는 물론 청와대와 내각을 포함한 여권 전체의 개편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급 인사는 연말 인사 수요에 따른 것으로, 이는 개각과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그러나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에서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쇄신을 요구해온 터여서, 고위 공무원 물갈이 움직임은 집권 2년차를 앞둔 여권 재정비 흐름의 중요한 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까지 청와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되는 흐름은, 연말연초에 1급 공무원 교체가 상당폭으로 이뤄지리라는 점과, 청와대 행정관들이 다수 정부 부처로 이동배치되리라는 점이다. 재배치 대상 청와대 행정관은 40여명에 이르러, 정부 부처 인사폭을 넓히는 요인도 되고 있다.
청와대 수석진 개편이나 개각에 대해 그동안 청와대는 “전혀 논의되지 않고 있다”며 공론화 자체를 경계해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개편이나 개각에 대해 이 대통령이 아직 구체적인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언제, 어떤 식으로 할지는 대통령 외에는 아무도 알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1급 일괄사표로 불거진 고위공무원 물갈이 문제는, 의도와 달리 청와대 수석진 개편과 개각을 앞당기는 방아쇠 구실을 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당장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고위공무원 개편도 좋지만 청와대와 내각을 근본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견해들이 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과 가까운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18일 “1급 공무원들 쇄신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며, 이를 계기로 청와대와 내각도 판을 새로 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안경률 사무총장 등 여권 핵심 인사들은 최근 “새로운 출발을 위해 청와대 개편과 개각 등 인적쇄신이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불을 지피고 나섰다.
최근 이 대통령이 ‘속도전’을 강조하는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여권 내부에선 지금까지 청와대 수석진 개편과 개각 시점으로, 내년 2월 하순 취임 1주년 무렵을 점치는 견해가 우세했다. 그러나 이번 1급 공직자 파문과 이 대통령의 최근 발언 등을 종합해볼 때, 개각이 1월로 앞당겨질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1월 초까지 각 부처 업무보고를 마치고, 청와대 개편과 개각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시간표다. 2월 초 임시국회가 열리면 즉시 장관 인사청문회를 거친 뒤 최대한 빨리 3기 내각 체제로 돌입하는 게 가장 빠른 수순이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