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한 법무 등 후임에 거론
개각 맞물려 초미의 관심사
개각 맞물려 초미의 관심사
일부선 “안바꾼다” 유임설
경찰청장 후임도 TK ‘1순위’ 이명박 대통령이 조만간 실시할 것으로 보이는 개각 향배와 함께,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한 ‘4대 권력기관장’의 개편 가능성도 관심을 끈다. 관심의 초점인 김성호 국정원장에 대해선 현재 교체설과 유임설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교체론은 국정원이 촛불집회 등을 예측해 미리 대책을 세우는 등 정권에 도움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에서 출발한다.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은 노골적으로 김성호 원장 교체를 주장하는데, 국정원이 여당 쪽으로 ‘유용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다는 불만 탓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이상득계로 분류되는 김주성 국정원 기획조정실장과 김 원장과의 불화설 등이 더해졌다. 후임 국정원장으로는 김경한 법무장관이 가장 많이 거론되는 가운데,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 박창달 전 한나라당 의원 등이 뒤를 잇는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른바 이 대통령 직계로 충성심이 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들 중에서 새 국정원장이 나온다면, 국정원의 ‘대통령 보위 기능’이 지금보다 더 강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정원의 정치개입 논란이 커질 염려도 있다. 거론되는 3명은 모두 티케이(TK) 출신이다. 이때문에 일각에서는 ‘국정원장 교체설’의 진원지로 ‘여권 티케이 인맥’을 의심하기도 한다. 김성호 원장의 고향은 경남 남해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경한 법무장관을 국정원장으로 앉혀야 한다는 의견이 티케이 쪽에서 많이 나오긴 한다”고 전했다. 청와대 안팎에는 ‘국정원장 유임설’도 만만치 않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교체설을 부인하면서, 한나라당 일각의 불만에 대해 “지금 민정당식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데, 자꾸 옛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 참모는 그러면서도 “국정원은 정무감각이 있는 사람이 가야한다. 국정원이 국내 파트를 위축시켜서 이 기능을 살릴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법조계 핵심인사는 “김 원장이 대통령의 불신이 아니라,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다”며 교체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9일 브리핑에서 4대 권력기관장 교체와 관련해 “인사권자의 고유한 권한이기에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어청수 경찰청장 경질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경찰청장은 임기제여서 어 청장의 임기는 아직 1년이 남아있다. 그런데 지난해말 경찰 고위급 인사에 대해 청와대가 승인을 미루면서, 어 청장 교체 가능성에 대한 관측이 확산됐다. 후임으로는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이 강력하게 거론된다. 공교롭게 김 청장도 티케이 출신이다.
국정원장, 경찰청장에 비해 나머지 권력기관장인 검찰총장과 국세청장은 유임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 시기와 관련해선 2월 ‘입법전쟁’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이 떠올랐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월에 개각을 실시하긴 힘들다. 국회가 제대로 안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월 임시국회 들어 여야간 법안을 둘러싸고 대립할 때) 개각을 발표하면 인사청문회를 해야 하고 이것은 야당에 무기 하나를 더 쥐어주는 꼴”이라고 말했다. 권태호 황준범 기자 ho@hani.co.kr
경찰청장 후임도 TK ‘1순위’ 이명박 대통령이 조만간 실시할 것으로 보이는 개각 향배와 함께,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한 ‘4대 권력기관장’의 개편 가능성도 관심을 끈다. 관심의 초점인 김성호 국정원장에 대해선 현재 교체설과 유임설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교체론은 국정원이 촛불집회 등을 예측해 미리 대책을 세우는 등 정권에 도움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에서 출발한다.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은 노골적으로 김성호 원장 교체를 주장하는데, 국정원이 여당 쪽으로 ‘유용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다는 불만 탓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이상득계로 분류되는 김주성 국정원 기획조정실장과 김 원장과의 불화설 등이 더해졌다. 후임 국정원장으로는 김경한 법무장관이 가장 많이 거론되는 가운데,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 박창달 전 한나라당 의원 등이 뒤를 잇는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른바 이 대통령 직계로 충성심이 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들 중에서 새 국정원장이 나온다면, 국정원의 ‘대통령 보위 기능’이 지금보다 더 강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정원의 정치개입 논란이 커질 염려도 있다. 거론되는 3명은 모두 티케이(TK) 출신이다. 이때문에 일각에서는 ‘국정원장 교체설’의 진원지로 ‘여권 티케이 인맥’을 의심하기도 한다. 김성호 원장의 고향은 경남 남해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경한 법무장관을 국정원장으로 앉혀야 한다는 의견이 티케이 쪽에서 많이 나오긴 한다”고 전했다. 청와대 안팎에는 ‘국정원장 유임설’도 만만치 않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교체설을 부인하면서, 한나라당 일각의 불만에 대해 “지금 민정당식으로 되돌아갈 수 없는데, 자꾸 옛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 참모는 그러면서도 “국정원은 정무감각이 있는 사람이 가야한다. 국정원이 국내 파트를 위축시켜서 이 기능을 살릴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법조계 핵심인사는 “김 원장이 대통령의 불신이 아니라,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다”며 교체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9일 브리핑에서 4대 권력기관장 교체와 관련해 “인사권자의 고유한 권한이기에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어청수 경찰청장 경질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경찰청장은 임기제여서 어 청장의 임기는 아직 1년이 남아있다. 그런데 지난해말 경찰 고위급 인사에 대해 청와대가 승인을 미루면서, 어 청장 교체 가능성에 대한 관측이 확산됐다. 후임으로는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이 강력하게 거론된다. 공교롭게 김 청장도 티케이 출신이다.
국정원장, 경찰청장에 비해 나머지 권력기관장인 검찰총장과 국세청장은 유임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 시기와 관련해선 2월 ‘입법전쟁’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이 떠올랐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월에 개각을 실시하긴 힘들다. 국회가 제대로 안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월 임시국회 들어 여야간 법안을 둘러싸고 대립할 때) 개각을 발표하면 인사청문회를 해야 하고 이것은 야당에 무기 하나를 더 쥐어주는 꼴”이라고 말했다. 권태호 황준범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