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수 총리가 18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청와대 이메일 홍보지침’과 관련한 천정배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답하며 다양한 표정을 짓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인사청문팀 없었다→아는 바 없어→있다면 비공식
민주당 의원 대정부질문에 “보고에 의거”
“이메일은 개인문제…처리 끝나” 되풀이
민주당 의원 대정부질문에 “보고에 의거”
“이메일은 개인문제…처리 끝나” 되풀이
청와대의 ‘이메일 홍보지침’을 둘러싼 논란은 18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도 재연됐다. 질문에 나선 민주당 의원들은 한승수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거짓말을 했다며 거칠게 몰아세웠으나, 한 총리는 ‘동문서답’식 답변으로 예봉을 피해 갔다. 민주당은 한 총리에 대한 고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첫 질문자로 나온 천정배 민주당 의원은 이번 의혹 사건을 ‘패륜 메일 게이트’라 부르며 특별검사의 수사를 거듭 촉구했다. 그는 한 총리에게 “국민의 억울한 죽음을 또다른 억울한 죽음으로 덮으려는 이번 시도는 ‘패륜 메일 게이트’다. 이명박 정부는 이를 은폐하고자 최소한 일곱 번의 거짓말을 했고, 총리도 바로 이 자리에서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이 있다”며 한 총리를 닦아세웠다. “서울경찰청 인사청문팀은 없었다”는 한 총리의 답변을 겨냥한 질문이다.
실제로 한 총리는 인사청문팀의 존재를 두 차례나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지난 1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윤상현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을 받고는 “(인사청문팀을 구성한) 그런 사실은 없다고 들었고,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경찰청장 내정자에 대해 국회에 인사청문을 요구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인사청문팀이 없었다”고 답변했다.
또 17일 대정부 질문에서도 김영록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 팀을 조직하지 않았다고 보고를 받았지만, 그러나 그게 사실이라고 그러면 저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인사청문팀이 활동했다는 사실은 경찰도 인정한다. 경찰은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이 지난달 19일 경찰청장 후보자로 지명되자 국회 인사청문회에 대비해 15명 규모의 인사청문팀을 꾸렸다. 경찰한테서 박아무개 경무관 이하 인사청문팀원 15명의 명단을 제출받은 김상희 민주당 의원은 오후 대정부 질문에서 이를 보여주며 “일국의 총리가 국민들이 다 지켜보는 국회에서 버젓이 거짓말을 한 상황이다. 총리는 허위 보고를 받은 것 아니냐”고 따졌다.
그러나 한 총리는 “공식적으로는 인사청문팀이 없었다. 비공식적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허위 보고를 받은 것은 아니다”라고 답변하다 김 의원한테서 “어떻게 이렇게 궁색한 답변을 하느냐”는 질책을 들었다. 한 총리는 또 “청와대 이메일과 관련해서는, 개인적인 차원이라 조처가 끝났다”며 얼버무리고 넘어갔다. 이메일을 작성한 행정관의 사표 수리로 이 사건은 일단락이 됐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이에 민주당은 한 총리에 대한 고발장 준비에 들어갔다. 위증 혐의가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용산참사진상조사위원장인 김종률 의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메일 홍보지침’이 서울경찰청 인사청문팀에도 전달됐다는 증언이 있었지만, 한 총리는 ‘그런 사실이 없다’면서 국회에서 위증을 했다”며 “이는 국회와 국민을 속인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또 박형준 청와대 홍보기획관 등 이 사건의 ‘지휘계선’상에 있는 인사들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