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밤 11시께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들머리의 현수막 뒤쪽으로 멀리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에 불이 켜져 있다. 현수막 속에서 노 전 대통령은 ‘봄은 당신에게서 옵니다’란 인사말과 함께 방문을 환영하는 듯 웃고 있지만 마을은 내내 고요했다. 김해/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2005~2006년께 정상문 전 비서관 통해
검찰, 노 전 대통령 부부 소환 검토
검찰, 노 전 대통령 부부 소환 검토
.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노 전 대통령은 근래에 알게 된 것으로 알고 있고, (권씨가) 빌린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은 박 회장의 돈 500만달러가 자신의 조카사위 연철호(36)씨에게 건너간 일에 대해선 “실제로 (연씨의) 사업에 투자가 이루어졌던 것”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박 회장의 금품이) 특별히 호의적인 동기가 개입한 것으로 보였지만, 성격상 투자이고 저의 직무가 끝난 후의 일이어서 특별한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이인규)는 이날 오전 박 회장한테서 3억원가량의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정 전 비서관을 서울 사당동 자택에서 체포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을 상대로 이 돈이 실제로 권씨에게 건네졌는지, 어디에 사용됐는지 등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노 전 대통령의 사과 글은 수사에 참고하겠다”며 “그 글에 대한 조사 여부는 정 전 비서관을 조사한 뒤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대검 중수부는 또 홍콩 사법당국으로부터 박 회장의 현지법인인 에이피시(APC) 계좌 거래 명세 등을 건네받아 분석하고 있으며, 자료 검토를 마치는 대로 연철호씨를 불러 이 돈의 성격을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검찰은 이날 박 회장한테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김원기(72) 전 국회의장을 소환조사했다. 박관용(71) 전 국회의장도 이날 다시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대전지검은 이날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인 강금원(57) 창신섬유 회장에 대해 횡령과 조세포탈, 배임 등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대검 중수부는 강 회장의 구속영장이 발부돼 신병이 확보되면 70억원을 투자해 ㈜봉화를 설립한 경위와 함께 박 회장, 정 전 비서관과 한 ‘3자 회동’ 등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김지은, 대전/송인걸 기자 mirae@hani.co.k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노 전 대통령은 근래에 알게 된 것으로 알고 있고, (권씨가) 빌린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은 박 회장의 돈 500만달러가 자신의 조카사위 연철호(36)씨에게 건너간 일에 대해선 “실제로 (연씨의) 사업에 투자가 이루어졌던 것”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박 회장의 금품이) 특별히 호의적인 동기가 개입한 것으로 보였지만, 성격상 투자이고 저의 직무가 끝난 후의 일이어서 특별한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이인규)는 이날 오전 박 회장한테서 3억원가량의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정 전 비서관을 서울 사당동 자택에서 체포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을 상대로 이 돈이 실제로 권씨에게 건네졌는지, 어디에 사용됐는지 등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노 전 대통령의 사과 글은 수사에 참고하겠다”며 “그 글에 대한 조사 여부는 정 전 비서관을 조사한 뒤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대검 중수부는 또 홍콩 사법당국으로부터 박 회장의 현지법인인 에이피시(APC) 계좌 거래 명세 등을 건네받아 분석하고 있으며, 자료 검토를 마치는 대로 연철호씨를 불러 이 돈의 성격을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검찰은 이날 박 회장한테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김원기(72) 전 국회의장을 소환조사했다. 박관용(71) 전 국회의장도 이날 다시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대전지검은 이날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인 강금원(57) 창신섬유 회장에 대해 횡령과 조세포탈, 배임 등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대검 중수부는 강 회장의 구속영장이 발부돼 신병이 확보되면 70억원을 투자해 ㈜봉화를 설립한 경위와 함께 박 회장, 정 전 비서관과 한 ‘3자 회동’ 등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김지은, 대전/송인걸 기자 mirae@hani.co.k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