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반응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 전입과 증여세 탈루, 자금 출처가 불분명한 고가 아파트 매입 등의 의혹이 불거진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가 14일 밤 전격 사의를 표명하자, 여야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청문회 이후 야당의 사퇴 압박에 “총장직을 수행하는 데 중대한 결격사유가 아니다”라며 천 후보자를 두둔했던 한나라당은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며, 정치적 파장을 줄이는 데 주력했다. 장광근 사무총장은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안타깝지만 국민적 열망에 빨리 답한 것은 다행”이라며 “대통령이나 정부가 안정적인 국정수행을 하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친이명박계 수도권 한 재선 의원은 “어젯밤부터 당 핵심부에서 ‘천 후보자를 그대로 안고 가는 것은 정권에 너무 부담이 된다’며 청와대에 사퇴시킬 것을 요구해 왔다”며 “청와대가 신속하게 반응한 것도 상황을 심각하게 본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안에서는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 점검은 물론 부실 검증에 책임이 있는 민정수석실 인사들의 문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어, 정치적 후폭풍이 예상된다. 한 최고위원은 “어떻게 이런 흠결이 있는 인사를 천거할 수 있느냐”며 “청와대 인사 시스템 전반을 점검해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된 한 의원은 “민정수석실 등 청와대에 포진해 검증을 가로막는 형님 라인(이상득계)을 비롯한 문제 인물들을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등 야당은 이명박 정부의 무능과 난맥상이 자초한 당연한 결과라며, 검찰 개혁 의지가 있는 인사를 기용하라고 이 대통령을 압박했다. 이강래 원내대표는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다면 인사 기준에 문제가 있는 것이고, 비선조직을 통해 인사를 했다면 국가적 불행”이라며 “최종 책임은 이 대통령에게 있다는 걸 알고, 국민적 요구에 맞게 검찰을 개혁할 인물을 기용하라”고 촉구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도 “사필귀정”이라며 “이 대통령은 부실 인사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민주적 인사를 내정하라”고 요구했다.
신승근 송호진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