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환운동본부 “투표방해 만연…승복 못해”
낮은 투표율 엇갈린 해석
“선관위·언론, 주민 눈 가려”
낮은 투표율 엇갈린 해석
“선관위·언론, 주민 눈 가려”
김태환 제주도지사 소환투표가 무산된 뒤 제주 지역의 민심은 복잡하게 갈렸다. 김 지사 쪽은 투표 결과를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주민소환운동본부 등은 ‘관권 개입으로 얼룩졌다며, 투표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다. 주민들도 투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반응에서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했다.
김 지사는 27일 오전 20일만에 제주도청에 출근해 직원들을 격려했다. 김 지사는 잠정 투표결과가 나온 뒤 기자회견에서 “특별자치도의 중단 없는 전진을 선택해주신 도민들의 뜻에 따라 지금까지의 행정공백을 메우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하겠다”고 말했다. 제주해군기지건설 범도민추진협의회도 27일 제주시 연동 제주도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끄러운 소수 때문에 제주의 미래를 포기할 수 없다”며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태환 제주도지사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이날 도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투표를 관권에 의해 자유로운 투표행위가 원천봉쇄된 채 이뤄진 관제투표로 규정한다”며 “투표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정훈 운동본부 공동대표(목사)는 “어제 소환본부 상황실은 투표 방해 행위에 대한 제보로 전화통에 불이 났다”며 “이런 결과에 승복한다면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어서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
소환운동본부는 앞으로 관권이 개입한 투표방해 사례를 철저히 조사하기로 했다. 또 현 제도로는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환제 개정 및 헌법소원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김 지사가 추진해온 해군기지 건설, 영리병원·카지노 도입에 대해서도 계속 저지운동을 벌이겠다고 덧붙였다.
소환투표 참여자(4만6075명)가 소환투표를 요구했던 서명인 숫자(5만1044명)보다도 적었던 점은 제주도민들에게도 충격적인 대목이었다. 이와 관련해 제주시 이도1동에 사는 한율리(60)씨는 “한 부부가 투표소 앞에서 돌아가라는 말을 듣고 그냥 왔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런 투표방해가 많이 작용하지 않았겠냐”고 말했다.
소환투표를 알리는 데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지역 언론과 제주도선거관리위원회를 꼬집는 주민들도 있었다. 보험회사 직원인 박성웅(32)씨는 “공공기관이나 언론에서 소환투표에 대해 제대로 홍보하지 않은 것이 저조한 투표율의 원인인 것 같다”며 “온 나라의 관심이 집중되는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도 60% 밖에 안 되는데 이렇게 홍보를 하지 않고 11%가 나왔으면 오히려 많은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제주/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