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불참 우려 표 단속도
야, 총리인준 투표 참석 추진
야, 총리인준 투표 참석 추진
28일로 예정된 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 국회 인준을 두고 여야의 신경전이 날카롭다. 167석의 ‘거대 여당’인 한나라당은 자체 의석만으로도 정 후보자 임명동의안 가결이 가능하다며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범야권이 ‘찰떡공조’를 다짐하고 있고, 여당 내부에서도 일부 이탈표 조짐이 엿보이자 긴장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총리 임명동의안은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으로 통과된다. 즉, 현재 재적의원 290명 가운데 146명 이상이 출석하고, 74명의 찬성만 얻어도 정 총리후보자 인준안은 가결된다. 한나라당으로선 야당이 회의에 불참하면 문제는 쉬워진다. 한나라당 자체 의원만으로 본회의 개회는 물론 표결까지 ‘일사천리’로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이탈표가 나오더라도 절반은 넘기 어려운 만큼, 한나라당 단독의 ‘무난한’ 처리가 예상되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반란표보다 ‘회의불참’을 더 걱정하고 있다. 정 후보자의 소득세 탈루, 병역면제 의혹 등으로 당내 실망 여론이 만만치 않고, 이에 본회의 참석을 아예 꺼리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해외 출장 중인 의원 3명에게 ‘27일까지 귀국령’을 내린 데 이어, 각 상임위별로 회의 참석을 독려하며 표 단속에 나섰다.
야권이 회의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할 경우, 표계산이 좀 더 복잡해진다. 재적의원 290명 전원이 참석할 경우, 146표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고, 일단은 과반 의석을 가진 한나라당이 유리한 입장이다. 그러나 여당 내부 이탈표와 야권 ‘단일표’가 더해지면 혼전을 보일 가능성도 있다. 27일 공조를 선언한 민주당(83석)과 자유선진당(17석)을 더하면 100석이 만들어진다. 여기에 창조한국당(3석)과 민주노동당(5석), 진보신당(1석), 민주당 또는 선진당 성향의 무소속 후보들(5석)까지 더하면 114석의 ‘단일대오’가 형성된다. 한나라당에서 30여명의 ‘반란표’만 나와도, 임명동의안 부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야당 안에서는 회의 불참보다는 일단 회의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자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28일 오전 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등과 함께 구체적인 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의원총회를 열어 본회의 참석 여부 등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한나라당도 표 대결에 대비해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친박연대(5석)와 무소속 후보들(3석)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인준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 노철래 친박연대 원내대표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28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당론을 모으기로 했다”면서도 “의견이 모아지지 않을 경우, 자유투표 가능성도 배제할 수없다”고 말했다.
최혜정 이정애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