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감사 파행
진보 성향의 첫 민선 교육감이 교육 개혁을 추진하다가 번번이 좌절된 경기도 교육청에 대한 8일 국정감사는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운찬 총리에 대한 증인 채택 문제로 여야가 충돌해 사실상 무산됐다.
8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국정감사는 경기도가 신설한 ‘교육국’ 문제와 한나라당의 반대로 좌절된 초등학교 무상급식 등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예상됐다. 그러나 이날 국감은 업무보고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포문은 김영진 민주당 의원이 열었다. 김 의원은 “(도교육청이 있는데도) 경기도가 교육국을 설치하고 도의회는 이를 통과시켰다”며 “김 지사와 도 의원들을 불러 진상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도 “김문수 지사가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자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은 “업무보고도 받기 전에 증인 문제로 시간을 끄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맞받아쳤고, 같은 당 임해규 의원은 “교육감이 경기도의 교육국 설치를 왜곡해 정치적으로 활용했다”고 거들었다.
설전은 엉뚱하게도 전날 쟁점이었던 정운찬 총리 문제로 번졌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국립대 교수 시절 기업에서 1억원 가까운 돈을 받고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며 “정 총리를 반드시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여기서 떠들지 말고 다른 데 가서 항의하라”고 공격했다. 설전 끝에 국감은 오전 11시50분께 정회됐다.
야 3당 의원들은 5시간이 지난 뒤인 오후 5시15분께 기자회견을 열어 “교수 재직 때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돈을 받고도 거짓말을 계속하는 정운찬 총리에 대한 증인 채택과 사퇴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나라당도 야당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수원/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