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만의 서해교전] 정치권 반응
10일 오후 서해교전 소식이 전해지자, 정치권은 사태 파악에 나서며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었다. 여당은 북의 태도 변화를 촉구한 반면, 야당은 진상 규명과 함께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주문하는 등 온도차를 드러냈다.
여야는 이날 국방위원회를 열어 김태영 국방부 장관한테서 교전 상황에 대한 보고를 듣고 철저한 대처를 주문했다. 한나라당은 국회에서 긴급최고위원회를 열어 김 장관의 현안보고를 들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김 장관에게 “1.2마일을 침범했다는데, 이 정도면 저쪽 경비정의 실수로 볼 수 없는 거냐”고 물었고, 김 장관은 “1마일(1.6㎞) 이상 되면 상당한 거리이기 때문에 알고 있었을 거라 본다”고 답했다. 이에 안 원내대표는 “북의 의도적 도발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조윤선 대변인도 논평을 내어 “최근 북한의 유화적 행보가 잠시의 눈가림이 아니었는지, 진정성에 깊은 의혹을 일게 한다”며 “북이 무력도발을 중단하지 않는 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은 “북이 다시는 도발을 감행할 생각조차 못하도록 숨통을 바짝 조여야 북핵 포기도 이끌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일단 정확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남북 간 화해협력을 해야 할 시점에 교전 사태가 일어나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며 “이명박 정부의 일방적 밀어붙이기식 대북정책이 이런 사태를 유발한 것은 아닌지, 진상을 먼저 잘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상호 대변인도 “정부는 민주당이 제시한 공동어로수역 설정 등 남북관계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이러한 불행한 사태의 근원적 차단을 위해선 서해평화특별지대 설치 등에 합의한 10·4 공동선언 이행밖에 없다”고 말했고,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도 “엔엘엘은 이명박 정부 이후 남북관계 악화로 계속 분쟁의 불씨를 안고 있던 곳인 만큼, 서해평화협력지대 문제를 포함해 양쪽 정부가 진지하게 대화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최혜정 이정애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