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위 회의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는 30일 3차 회의를 열어 세종시의 자족기능 보강 방안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 부처 이전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그러나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등 세종시 자족기능 보강방안 마련에 따라 행정부처 이전 백지화는 사실상 기정사실이 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송석구 민관합동위 민간위원장은 이날 회의 뒤 브리핑을 통해 “국토연구원으로부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방안을 보고받고 논의한 결과 타 지역과의 형평성을 유지하면서 세종시의 자족기능을 확충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이 세종시에 위치하더라도 그 영향은 벨트를 따라 타 지역에도 파급돼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고 밝혔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2015년까지 200만㎡ 터에 3조50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를 건립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국토연구원은 이날 보고에서 세종시 건설 부지를 활용하고 인근 대덕특구 및 오송·오창단지와 연계해 과학비즈니스벨트를 건설함으로써 세종시를 교육·과학을 중심으로 기업까지 포함하는 경제도시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과학비즈니스특별법(안)은 도시육성 지원체제, 외국인 투자자 및 입주외국인 특례규정 등을 이미 담고 있어 세종시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지 않아도 돼, 타 지역 역차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오는 7일 열릴 4차 회의에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초안을 보고받는다. 조원동 세종시 기획단장은 “3차 회의에선 (부처 이전과 관련해) 논의의 쟁점이 좀더 분명해지는 차원의 진전이 있었다”며 “최종안은 (위원회 찬반토론을 거쳐) 어느 정도 성숙된 시점에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