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부처 축소이전도 안돼”
세종시 정부지원협의회 의장을 맡고 있는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은 18일 세종시 수정과 관련해 행정부처 이전을 전제로 자족기능을 보강하는 ‘원안 플러스 알파’나 ‘부처 이전 축소 플러스 알파’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부처 이전 백지화’가 정부의 유일한 의도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원안(부처 이전)이냐, 수정안(부처 이전 백지화 대신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이냐의 양자택일을 충청권에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 실장은 이날 출입기자단과 함께한 오찬 간담회에서 “원안 플러스 알파는 충청권에 과도한 혜택을 주는 것으로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안 된다”며 “세종시에 22조5000억원을 투입하고 거기에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추가로) 줬을 때 누가 수긍하겠느냐”라고 말했다. 그는 “충청권은 울산에 이어 지역내 총생산(GRDP)이 두번째로 높은 지역인데, 세종시에 추가로 유인책을 준다고 하니 여러 지역에서 항의전화가 오고 있다”며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면 과학비즈니스벨트도 (세종시에) 못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전 부처의 수를 줄이는 절충안에 대해서는 “비효율 때문에 정부가 쪼개져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이전 규모 축소는)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된다”고 가능성을 차단했다.
김해수 청와대 정무비서관도 이날 대전에서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열어 “이명박 정부는 임기 중 세종시에 정부부처를 절대 이전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 김 비서관은 “대신 국가와 충청의 이익을 위해 세종시의 성격을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도시로 변경해 경쟁력을 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충청 여론 달래기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지난 12~13일에 이어 19~20일에도 충북 청주와 청원, 대전, 충남 연기·예산 지역을 찾아 우호 여론 조성에 나선다. 그러나 정 총리의 잇단 충청 행보가 민심 청취보다는 수정안 수용을 일방적으로 설득·압박하는 데 맞춰지는 한, 지역의 반발만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