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국민참여당 등 야 4당이 6·2 지방선거 최대승부처인 서울과 경기도에서 시민들이 참여하는 경쟁방식으로 ‘범야권 단일후보’를 뽑기로 하는 등 연대방식과 선거연합 지역 배분에 상당부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16일 이런 내용의 합의문을 내놓을 예정이지만, 진보신당은 민주당 중심의 연대를 위한 ‘공천배분 협상’에 불과하다며 논의에 참여하지 않는 등 반발하고 있다.
야 5당과 4개 시민사회조직이 모인 ‘5+4’ 기구 관계자는 연대방식에 관한 협상 최종시한으로 정한 15일 광역단체장 후보와 관련해 “서울, 경기, 울산은 경쟁방식으로 단일후보를 뽑을 것이 확실시되며, 호남의 상징인 광주와 지역 차원의 연대논의가 활발한 인천 등도 경쟁방식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기초단체장도 서울의 경우 강남·서초구를 포함해 중구·중랑·광진·양천구 등이 민주당을 뺀 야 4당과 시민사회 추천 후보의 몫으로 거론되는 등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배분도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5+4’의 다른 관계자는 “수도권 66개 기초단체장 중 60개는 정치적 합의로 단일후보 지역을 나누었고, 6개 지역은 경쟁방식을 택할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호남 기초의원 2인 선거구는 민주당이 후보를 1명만 내는 방안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진보신당의 반발 때문에 야 5당이 모두 서명한 합의문이 나오기는 어려워 보인다.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은 “민주당에 광역단체장을 사실상 다 밀어주고 다른 야당이 기초단체장 자리를 받는 식의 배분협상에는 참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14일 논의 도중 협상 내용에 불만을 품고 뛰쳐나온 진보신당은 이날 협상에도 불참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