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민주당 정세균 대표, 민노당 강기갑 대표,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 국민참여당 이재정 대표(이상 오른쪽부터) 등이 3일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62주년 제주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참석해 헌화하고 있다. 제주/연합
여당, 정부 무능대응·비밀주의 ‘천안함 후폭풍’ 곤혹
한명숙 무죄땐 여당 타격…야, 지지세력 결집 탄력
세종시 친이-친박 수정안 타협·국회처리시기 관건
한명숙 무죄땐 여당 타격…야, 지지세력 결집 탄력
세종시 친이-친박 수정안 타협·국회처리시기 관건
4일로 6·2 지방선거일이 59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치권은 요란한 선거행보를 자제했다. 천안함 침몰 사건 때문이다. 그러나 선체 인양이 시작되고 각 당의 후보경선이 진행되면서 차츰 선거 분위기가 살아날 것으로 정치권은 판단하고 있다. 천안함 침몰사건의 추이와 9일 한명숙 전 총리 1심 선고공판, 세종시 수정안이 어떻게 매듭되느냐가 선거의 판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천안함 침몰 천안함 침몰 사건이 여당에 불리한 소재라는 데는 여야 간에 이견이 없다. 한나라당 지방선거기획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은 4일 “사건 발생 이후 국정지지율이 떨어지는 것 등을 보면 한나라당에 불리한 주제”라고 말했다. 민주당도 여론의 무게추는 정부의 무능과 비밀주의를 질타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고 본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국민들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침몰 이후 정부와 군 당국이 보여준 엉터리 위기관리 능력”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 연계 가능성이 확인될 경우 상황은 복잡해질 수 있다. 대형 안보 이슈가 터질 경우 보수정권에 유리하다는 게 정설처럼 굳어져 있다. 하지만 반론도 많다. 남북관계 등을 고려할 때 여권의 선택 폭이 넓지 않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핵심 당직자는 “보수진영은 북한에 강력한 대응을 요구하겠지만, 정부는 정부 운영과 이후 남북관계 등을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강하게 나갈 수도, 그냥 둘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이 닥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역시 북한 개입 정황이 포착된다고 해도 불리할 게 없다는 판단이다. 윤호중 사무부총장은 “북한 공격이 있었다면 보수정권이 가장 자신있게 내세우는 ‘안보 능력’에 구멍이 뚫린 것”이라며 “과거의 ‘북풍’처럼 마냥 보수세력에 유리하게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명숙 재판 한명숙 전 총리의 재판 결과도 유동성을 높이는 변수다. 민주당은 천안함 사고로 ‘안보 무능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한 전 총리에 대한 무죄판결까지 더해질 경우 현 정부에 막대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상호 대변인은 “5월 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까지 겹치면 정부는 감내하기 힘든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유죄판결을 기대하면서 무죄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모습이다. 전략통인 한 의원은 “유죄 판결이 날 경우 야권은 혼돈에 빠질 것이고, 승부처인 서울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죄가 날 경우엔 인물론으로 정면승부를 벌일 계획이다. 지방선거기획단 간사인 권택기 의원은 “판결 결과와 한 전 총리의 시장후보 자질 문제는 전혀 다른 얘기”라고 말했다.
■ 세종시 문제 세종시 수정 문제도 변수다. 한나라당 친이 주류는 6월 지방선거 이전에 정리하는 방안을 선호한다. 한 핵심 당직자는 “지방선거에서 친이계는 수정을, 친박계는 원안을 호소할 경우 선거 메시지 자체가 대혼동을 가져올 것”이라며 “타협을 해서라도 선거 전에 결론 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세종시 수정 시도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류다. 여당 일각의 4월 국회 처리설에 대해서는 “천안함 수습에만 한 달 이상 걸린다”며 “세종시를 처리하겠다는 것은 정권 입장에선 정치적 자살행위”라고 일축했다.
신승근 이세영 기자 skshin@hani.co.kr
신승근 이세영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