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국민뜻 겸허히 수용해야”
일방통행 국정운영도 수정요구
일방통행 국정운영도 수정요구
6·2 지방선거 참패로 위기를 맞은 한나라당 안에서 민심을 달랠 대대적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 주류·비주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수정 공감 한나라당 의원들은 당·정·청 전반에 대한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친이직계 안에서도 지방권력의 균형추가 야당으로 이동한 만큼 청와대·내각의 인적쇄신은 물론,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방식까지 손봐야 한다는 요구가 터져나왔다.
친이직계인 김용태 의원은 4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여권에서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패배를 인정하기 어렵겠지만, 수도권에서 야당에 지방의회를 넘겨주고 진보 교육감을 선택한 국민의 뜻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며 “야당과 4대강 사업, 세종시 수정, 경쟁 일변도의 교육정책 등 이명박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를 협의해 그 수위와 속도를 재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이 만든 지방권력과 교육권력의 교체를 인정하지 않고서는 정국을 제대로 이끌 수 없을 것”이라며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선거 기획단 간사를 맡았던 친이직계 권택기 의원도 “이번 선거는 우리 사회의 주축인 40대 유권자들이 단순히 경제를 살리고 일을 잘한다는 것만으로는 한나라당과 정부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이제 국민을 설득하고, 납득시킬 수 있는 절차적 합리성을 갖추는 쪽으로 국정운영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비주류 의원들은 세종시 수정 중단과 정운찬 총리 등 관련 책임자 경질을 요구했다. 이한구 의원은 <기독교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지방선거의 중요한 포인트는 ‘세종시 수정안은 절대 안 된다’는 국민들의 인식이 확인된 것”이라며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온 (정운찬) 총리 이하 중요한 사람은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 참패 원인은 우리 탓 한동안 ‘여당 완승 분위기에 따른 친여 성향 유권자의 결집력 약화’(조해진 대변인)를 패배의 1차적 원인으로 지목했던 한나라당 의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좀 더 냉정한 분석을 내놓기 시작했다.
중앙선대위 대변인을 맡았던 정옥임 의원은 “경남·강원 등은 텃밭이라며 승리를 자신하는 매너리즘에 빠졌고, 국회의원들이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무리한 공천으로 지역에서 반감을 불러왔으며, 미디어법 강행처리를 비롯한 한나라당의 일방적 밀어붙이기에 대한 피로감 등이 견제심리를 폭발시켰다”고 진단했다.
친이직계인 정태근 의원은 “선거 기간 동안 정부가 내놓은, 20여건에 이르는 패착들이 국민의 분노를 자극했다”고 말했다.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검찰의 별건 수사, 민주노동당 가입 전교조 교사 해직,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주기 사회를 본 김제동씨의 방송 하차 등을 구체적 사례로 지목했다.
권택기 의원은 “한나라당은 가난과 전쟁·산업화를 거친 60대의 인식과 경험을 국민 일반의 정서로 판단하고, 젊은층에 일방적으로 강요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이를 심판하겠다고 벼르고 있었다”며 한나라당의 ‘인식지체’를 패인으로 꼽았다. 외교적 해결을 넘어 전쟁론으로 번진 천안함 사태, 선거 내내 전면에 내건 ‘과거정권 심판론’ 등이 오히려 젊은 층에 남북화해와 탈권위로 상징되는 ‘노무현의 사람들’을 지지하는 역효과를 냈다는 것이다. 신승근 이정애 기자 skshin@hani.co.kr
권택기 의원은 “한나라당은 가난과 전쟁·산업화를 거친 60대의 인식과 경험을 국민 일반의 정서로 판단하고, 젊은층에 일방적으로 강요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이를 심판하겠다고 벼르고 있었다”며 한나라당의 ‘인식지체’를 패인으로 꼽았다. 외교적 해결을 넘어 전쟁론으로 번진 천안함 사태, 선거 내내 전면에 내건 ‘과거정권 심판론’ 등이 오히려 젊은 층에 남북화해와 탈권위로 상징되는 ‘노무현의 사람들’을 지지하는 역효과를 냈다는 것이다. 신승근 이정애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