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희룡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18일 오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회의 도중 뭔가 골똘히 생각하고 있다. 왼쪽은 박근혜 대표.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3판]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한-일 협정 외교문서 공개와 관련해 ‘정치적으로 다뤄선 안 된다’며 ‘경계’의 목소리를 냈다. 반면, 당내 소장파 등은 국회 특위 구성 등 정치권 차원에서 이 문제를 적극 다룰 것을 주장했다. 박 대표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역사를 정치적으로 다루려고 하면 자신의 잣대로 편리하게 평가하려는 유혹들이 많지 않겠느냐”며 “그렇게 되면 국민들도 의혹의 시선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역사는 역사가가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당 운영위 회의에서도 “이 문제(한-일 협정)는 외교적, 법률적, 역사적 문제가 얽혀 있다”며 “역사적 문제는 역사학자가 풀어야 하고, 법률적 문제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전여옥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표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은 5·16쿠데타 직후인 1961년 조카사위인 김종필 당시 중앙정보부장을 일본에 특사로 보내 65년 한-일 협정의 토대를 마련하도록 했다. 소장파 재협상 촉구‥국회특위 주문 반면, 원희룡·남경필·정병국·이성권 의원 등 당내 소장파가 중심이 된 ‘새정치 수요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어, “당시 정부가 굴욕적 외교를 한 사실이 드러난만큼 정부 차원에서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일본에 재협상을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수요모임은 또 “국회는 조속히 관련 특위를 구성해, 피해자 보상 등을 논의하고 필요하다면 국정 조사도 검토해야 한다”며 “한-일 협정 체결 당시 협상에 임했거나 막후에서 협상에 관여했던 정부 관계자들은 사죄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날 당 운영위에서 “이번 문서공개로 당시 정부가 일제시대 징용으로 피해를 입은 우리 국민들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그 굴욕 외교와 졸속 외교의 실상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60년대 중반 한-일 협정 반대 시위를 주도했던 사람들이 만든 ‘6·3 동지회’ 회장인 이재오 의원도 “협정이 졸속 추진된 배경과 청구권 문제, 위안부·원폭피해자 등에 대한 조사를 위해 국회 차원에서 조사특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