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악화로 오염원 확인 무리
자율유영 등 기술개발도 안돼
자율유영 등 기술개발도 안돼
4대강 사업에 투입될 예정인 로봇물고기에 대해 국회 입법조사처가 “사업타당성에 의문이 든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김재균 의원(민주당)이 13일 공개한 ‘정보기술(IT) 한국의 현실과 전망’ 보고서를 보면, 이를 작성한 국회 입법조사처는 “정부 지시에 따라 적극 개발된 한국형 닌텐도와 로봇물고기 등은 사업타당성에 의문이 제시됨”이라고 밝혔다. 특히 로봇물고기에 대해서는 “아직 전세계적으로 현장 검증된 바 없으며 4대강 사업에는 효용성이 없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로봇물고기는 영국 에식스대학 등에서 초기 연구단계에 있으며 해양오염원을 세밀하게 찾아 알려주는 게 목적인데, 문제가 생길 경우 전체적인 수질악화가 우려되는 4대강 사업에서는 세밀한 오염원 확인 작업이 큰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사업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김 의원은 생산기술연구원 등 사업 참여 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검토한 결과, 로봇물고기의 7가지 주요기능 가운데 현재 우리나라가 확보하고 있는 기술은 단 한 건도 없다고 밝혔다. 특히 자율유영과 충전기술, 시스템통합 및 운용시험, 유동해석 및 수중 유영기술, 환경 센서 등 4가지 기술은 국외에서조차 개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공상소설에나 나올 만한 로봇물고기 개발로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며 “4대강도 로봇물고기도 결국 공상과 재앙으로 끝날 것 같다”고 꼬집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국민과의 대화’에서 4대강에 로봇물고기를 도입해 수질악화를 방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정부는 60억원의 예산을 들여 생산기술연구원과 전자통신연구원, 기술연구원 등에 로봇물고기 개발 사업을 발주해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