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판을 단 장군 차량
육군, 전투 임무 무관한 장군 혜택 없애기로
장군를 부르는 국방부 공식 용어는 ‘장관급(將官級) 장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장군이 되면 별을 달았다고 하고 ‘스타’라고 부른다. 대령이 별을 달면 복장, 전투화 등 달라지는 게 30여 가지가 된다고 한다.
장군이 되면 청와대에서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집무실 입구 성판(星板), 건물·사무실 등에 장성기가 걸린다. 행사시 장성곡이 연주되고, 지휘관 관사에는 공관병이 지원되고, 장군용 권총과 허리띠, 장군용 전투화를 지급받는다. 육군본부 등 상급부대에는 장군 전용식당과 장군 전용 이발소 등이 따로 있다. 또 번호판 대신 성판(星板)을 단 2천cc급 이상 승용차와 전속 운전병이 배치된다. 다른 중앙정부부처는 차관급부터 전용 승용차와 운전기사가 배치된다. 육군은 빨강 바탕, 해.공군은 청색 바탕에 별이 새겨진 성판을 단다.
육군은 3일 그동안 장군 권위의 상징이었던 승용차 성판을 떼어내고 장군용 전투화 대신 일반 장병과 같은 전투화로 갈아 신는 등 전투 임무와 무관한 장군의 혜택을 없애기로 했다고 밝혔다.
육군이 ‘장군 특혜’ 정리에 나선 것은 지난달 29일 국방부 연두업무보고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장군단이 가장 변하지 않는 집단”이란 지적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기 육군참모총장은 지난달 30일 육군 전 장군들에게 이메일(전자우편)을 보내 “외부에서 회자되는 장군의 혜택을 육본에서 면밀히 검토하여 폐지할 것과 존속할 것을 구분하여 시행할 예정”이라며 “전투 임무와 무관한 각종 요식 행위와 권위적 요소는 과감히 제거했다”고 밝혔다.
육군은 전투임무 수행에 부적절한 장군용 허리띠, 장군 전투화, 권총 가죽벨트는 의식행사 시에만 착용하고, 평소에는 일반장병과 동일한 일반 허리띠, 전투화, 탄띠를 사용하기로 했다. 장군용 전투화는 끈을 매는 방식의 병사와 위관·영관급 장교 전투화와 달리 옆에 지퍼가 달려 간편하게 신을 수 있다. 장군용 허리띠는 이등병부터 대령이 쓰는 얼룩무늬 헝겊 허리 띠와 달리 검은색 가죽으로 돼 있다.
육군은 권위적 인식이 강한 장군 지휘봉을 휴대하지 않도록 하고, 사무실 책상용 성판과 승용차 및 버스 성판은 부착하지 않기로 했다. 지금껏 장군들은 빨강(육군) 및 파랑(공군) 바탕 등에 계급 숫자만큼 별을 새긴 직사각형 모양의 성판을 집무실 책상 위에 놓고 근무했다. 하지만 전투용 차량과 전투헬기의 성판 부착은 지휘권 확립 차원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또 육군본부나 상급부대에서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장군식당과 이발소 등의 편의시설은 전 간부가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육군은 장군에 대한 차량과 운전병 지원도 바꾸기로 했다. 지휘관 및 위기관리직책 장군에게는 긴급 상황시 즉각 부대복귀, 지휘활동 보장 등을 고려하여 차량과 운전병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타 장군에게는 차량은 개인용으로 편제하되, 전속 운전병은 배치하지 않고 장거리 운행 등 필요하면 지원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장군 공관은 예산 및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지휘관 관사를 제외하고 독립관사형을 공동 주택형(아파트)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지만, 육군은 집무실 입구 성판과 건물, 사무실 등에 장성기 게양, 행사시 장성곡 연주, 지휘관 관사 공관병 지원, 장군용 권총 지급 등은 지휘권 확립과 장군 계급의 상징성을 고려해 현행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육군은 장군에 대한 차량과 운전병 지원도 바꾸기로 했다. 지휘관 및 위기관리직책 장군에게는 긴급 상황시 즉각 부대복귀, 지휘활동 보장 등을 고려하여 차량과 운전병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타 장군에게는 차량은 개인용으로 편제하되, 전속 운전병은 배치하지 않고 장거리 운행 등 필요하면 지원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장군 공관은 예산 및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지휘관 관사를 제외하고 독립관사형을 공동 주택형(아파트)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지만, 육군은 집무실 입구 성판과 건물, 사무실 등에 장성기 게양, 행사시 장성곡 연주, 지휘관 관사 공관병 지원, 장군용 권총 지급 등은 지휘권 확립과 장군 계급의 상징성을 고려해 현행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