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초과이익공유제’ 논란 여파
동반성장위원장직 사퇴 뜻
청와대, 불편한 심기 표출
동반성장위원장직 사퇴 뜻
청와대, 불편한 심기 표출
정운찬(사진) 전 국무총리가 자신이 추진하고 있는 이익공유제에 대한 정부쪽의 거부감을 이유로 동반성장위원장직을 물러날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청와대쪽도 정 전 총리의 행보를 비판하고 나서 정 전 총리 문제가 여권내 갈등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 전 총리는 지난 19일자 <조선일보> 및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동반성장위원장직을 그만두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전 총리는 자신의 초과이익공유제 구상을 비판한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을 겨냥해 “주무부처 장관이 거칠게 비판하고 있어 안타깝다. 나보고 일하지 말라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정 전 총리와 가까운 한 인사는 20일 “이전부터 여러 차례 정부 쪽에 동반성장위 예산과 인원 문제에 관해 의견을 냈으나 (지경부 쪽에서)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사퇴 검토 발언이 ‘일회용’이 아님을 내비쳤다.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정부·여당과 재벌의 부정적 기류에 대해 정 전 총리가 “이명박 정부의 동반성장 의지를 의심케 한다”며 강도 높게 반발했으나,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사퇴 고민에 이르렀다는 얘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을 위한 동반성장위원회는 이명박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지난해 12월 민간기구로 출범했다.
청와대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논란은 내부적으로 얼마든지 조율이 가능한 문제인데, 국무총리까지 지낸 분으로서 논란을 일으키는 공개적인 문제제기 방식을 택한 게 다소 의외”라며 “바람직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 전 총리는 경기 성남분당을 보궐선거와 관련해서도 지난 18일 제주에서 기자들에게 “분명히 (출마를) 안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 핵심부에서 확실한 ‘지원 사격’ 없이 등만 떠밀면서 당내 반발만 커지는 데 대한 불만이 불출마 결심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여권의 잠재적 대선주자인 정 전 총리가 현 정권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홀로서기’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지은 이순혁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