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이숙정 의원은 두달째 칩거 성남시의회 징계 ‘차일피일’

등록 2011-03-23 16:41

‘시의원 주민센터 난동사건’ 그 뒤
‘사과도, 원칙도, 그리고 화해도 없다.’

기초의회 규모로 전국 세번째를 자랑하는 경기 성남시의회가 요즘 ‘3무 의회’로 불리고 있다. 민주노동당 소속이었던 성남시의회 이숙정(36·지난달 7일 민노당 탈당) 의원이 공공근로자에게 모욕적인 언행을 해 물의를 빚은 이른바 ‘주민센터 난동사건’을 일으킨 지 두 달이 다 됐지만, 뒷정리를 못한 채 여야의 반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성남시의회는 지난 21일 닷새 일정으로 임시회를 소집했다. 지난달 임시회 때 이 의원에 대한 제명 징계요구안이 부결되자, 한나라당이 ‘번안동의안’(이미 처리된 의안에 대해 의결을 무효로 하고 이를 번복해 재의결하는 절차)을 내 열린 것이다. 국회법을 준용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다수당의 밀어붙이기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나라당은 “이 의원이 지난해 9월 한 미용실에서 지갑을 잃어버렸다며 소란을 피운 사실도 있다”며 이 의원의 제명 관철 의지를 보였다.

이에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이 사건을 곰국 끓여 먹듯 하며 야권연대를 흔들고 있다”며, 지난 21일 이 의원 징계를 위해 열린 윤리특별위원회에 소속 의원 6명이 모두 불참해 이를 무산시켰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 의원에 대한 사과만 요구할 뿐 뚜렷한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이숙정 사건’에 끌려다니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결국, 사건의 장본인인 이 의원은 말 한마디 없이 두달째 칩거중이고, 이 의원을 찍어내려는 한나라당은 ‘무원칙’이란 비판을 외면한 의회를 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지방선거 당시 이 의원을 연합공천했던 민주당은 어정쩡한 태도로 일관해 민생 의회는 실종 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성남시의회는 지난 18일 3월분 의정활동비 110만원과 월정수당 288만원을 합쳐 398만원을 이 의원의 통장으로 지급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