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고위관계자 자오치정
한국 태도에 공개적 문제제기
한국 태도에 공개적 문제제기
자오치정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외사위원회 주임(장관급)이 29일 “천안함·연평도 사건이 먼저 해결돼야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한국의) 입장에 많은 국가가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오 주임은 제주도 서귀포시 해비치호텔에서 열린 ‘제6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한국 정부와 국민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책임을 묻고자 하는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한반도의 비핵화는 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안목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한국 정부의) 그런 입장 때문에 장기적으로 협상이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고위 관계자가 이처럼 공개적으로 한국 정부의 천안함·연평도 사건 연계 방침에 우려를 표명한 것은 처음으로, 두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 문제와 비핵화 협상의 분리를 한국 정부에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협은 공산당을 비롯한 중국의 8개 정당과 각 단체, 소수민족, 홍콩과 마카오 대표 등을 묶어 구성한 중국 최고 정책자문기구이다. 자오 주임은 상하이 부시장을 지낸 원로급 인사이다.
문정인 연세대 교수는 “지난 25일 북-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자회담 재개 등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및 장애적 요소 제거’ 방침에 따라 중국이 본격적으로 ‘장애적 요소’ 제거를 위한 움직임에 나서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자오 주임은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한국이 북한의 개혁·개방을 환영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만약 한국이 넓은 마음으로 북한을 이해하고 도와준다면 북한도 이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권고했다. 그는 북한의 후계 문제에 대해 “정권교체는 북한의 내정 문제”라며 “중국이 인접국으로서 그들의 내정에 대해 비판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제주/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