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파에 최고위원 배려장치 둬야
정파별 득표율따라 30% 전략공천
정파별 득표율따라 30% 전략공천
야권 단일 연합정당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국민의 명령(백만민란)’의 문성근(사진) 대표가 31일 기자간담회와 민주당 의원 연찬회 발제를 통해 연합정당의 지도부 구성 및 공천 방안을 제시했다.
당 지도부 선출에 대해 문 대표는 “1인2표 중에 한 표는 출마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투표해 당 지도부를 구성하되 대표는 선호투표 방식으로 뽑으면 된다”며 “다수정파가 당 지도부를 독점하지 못하도록 소수정파를 (최고위원으로) 배려하는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한 표는 각 정파를 대상으로 투표해 정파별 득표 비율에 따라 중앙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자고 문 대표는 제안했다.
공천은 “국회의원 지역구 후보의 70%를 경선을 통해 선출하고 나머지 30%는 정파별 득표 비율에 따라 전략공천을 하자”며 “지역구 공천 결과가 각 정파의 지분과 차이가 나면 비례대표 공천에서 이를 보정하면 된다”고 제안했다.
각 정파의 지분과 기존 당원의 자격에 대해, 문 대표는 “당원 숫자가 100만명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서류상 150만명으로 돼있는 민주당 기존 당원들의 자격을 어떻게 할 것인지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며 “내년 대선이 끝나면 당을 재정비하기로 하고 이번에는 지난해 6·2 지방선거 득표율을 원용해 각 정파 지분을 인정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대표는 노회찬 전 진보신당 대표의 가설정당 제안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선거가 끝나면 곧바로 해체할 정당을 국민이 신뢰하지 않을 수 있으니, 득표율과 의석이 일치하는 선거제도 개편이 이뤄질 때까지는 연합정당을 유지하도록 하자”고 제의했다.
‘국민의 명령’은 오는 6월16일 ‘민주진보진영의 정체성 보장’(정파등록제)을 전제로 공천제도 및 지도부 구성 방안에 대해 본격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국민의 명령’은 아무리 늦어도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12월까지는 신설합당 형식으로 통합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