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합의가 더 큰 민주진보진영의 대통합으로 발전해 2012년 총선·대선의 승리와 국가 발전의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지금 이 시점에 무능하고 부패한 엠비 정권 심판과 정권교체보다 더 큰 가치는 없다.”(이용섭 민주당 대변인)
“이번 합의가 대중적 진보정당 건설의 기초가 되길 희망한다. 진보통합, 더 나아가 야권통합은 시대의 흐름이자 대의다. 국민참여당은 이 흐름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다.”(이백만 국민참여당 대변인)
“5월에는 진보통합과 민주당 내부 정비에 치중했다면, 6월에는 정당들과 시민사회의 대화와 협상이 가시화할 것이다. 6월10일을 전후해 여러 채널로 제의를 주고받게 될 것이다.”(백승헌 ‘희망과 대안’ 상임공동운영위원장)
“대중은 야권이 뭔가 정리를 하기 시작했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인다. 진보정당의 협상 창구가 단일화된 측면도 있다. 진보정당과 국민참여당의 합당도 야합이 아니라 공식성을 갖게 됐다.”(최민희 ‘국민의 명령’ 집행위원장)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 합의에 대해 다른 야당과 시민사회는 1일 대부분 환영의 뜻을 밝혔다. 두 정당의 합당 결의를 야권통합의 출발로 삼아야 한다는 기대를 한껏 담은 평가다.
그러나 이날 합의가 이들의 희망대로 야권통합으로 가는 ‘과정’이 될 것인지, 아니면 연합공천 지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진보정당의 ‘몸집 불리기’가 될 것인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민주당, 진보정당, 국민참여당, 시민사회까지 포함하는 ‘대통합’ 성사 여부는 야당과 시민사회의 정치력, 그리고 민심의 흐름에 달려 있다.
대통합에 가장 적극적인 쪽은 민주당이다. 손학규 대표를 비롯해 당 지도부 전체가 연대보다는 통합을 해야 한다고 사실상 의견을 모은 상태다. 민주당 야권통합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인영 최고위원은 “야권통합 추진을 위해 시민사회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요청했고 시민사회에서 이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사회는 곧 야권통합을 본격 논의하기 위한 연석회의나 원탁 테이블 구성을 제의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명령’(대표 문성근)은 야권 단일정당 추진 로드맵과 운용 방안을 만들기 위한 정책기획실무협의회를 추진하고 있다. ‘대중적 진보정당 건설’을 검토중인 국민참여당은 이번 주말께 유시민 대표가 토론문을 내놓으면 본격적인 당내 토론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진보정당’과 합치자는 것이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이런 민주당, 시민사회, 국민참여당의 제의를 즉각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당장 두 정당의 원만한 통합을 완수하기 위한 당내 설득도 버겁기 때문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연계해 어떻게 야권이 연합할 것인지, 복지·비정규직·정당명부비례대표제 등 정책 연대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그림이 전혀 나와 있지 않다. 아직은 갈 길이 먼 것이다.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이런 민주당, 시민사회, 국민참여당의 제의를 즉각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당장 두 정당의 원만한 통합을 완수하기 위한 당내 설득도 버겁기 때문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연계해 어떻게 야권이 연합할 것인지, 복지·비정규직·정당명부비례대표제 등 정책 연대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그림이 전혀 나와 있지 않다. 아직은 갈 길이 먼 것이다.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