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가 남길 후유증
죽은 사람이 등록된 경우도
경선규칙 편법변경도 오점
죽은 사람이 등록된 경우도
경선규칙 편법변경도 오점
7·4 전당대회가 끝나도 한나라당의 후유증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당 쇄신의 시발로 삼았던 선거인단 확대 등의 새 경선규칙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여기저기 허점이 드러난 탓이다.
서울에 사는 권아무개(40)씨는 지난 1주일 동안 하루 20~30통의 문자·전화에 시달려야 했다. 한나라당 전당대회 후보자들이 보낸 홍보와 선거인단 여론조사 참여, 투표독려 내용이었다. 하지만 권씨는 당원도, 당 지지자도 아니었다. “업무를 할 수 없을 정도였다”는 권씨는 지난 29일 서울시당에 전화해 후보인단 등록 삭제를 요구했다.
8천여명의 대의원을 상대로 한 기존의 전당대회 규칙을 당원 19만4천여명과 당적이 없는 청년선거인단 9443명으로 대폭 확대하면서 당원 부풀리기, 부실한 당원 관리 등의 관행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김용태 의원(서울 양천을)은 “우리 지역구의 경우 주기적으로 당원 명부를 업데이트해 허수가 5% 안팎이었지만 상당수 다른 지역은 잘못된 정보가 너무 많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이번 경선 과정에서 지역 당원협의회(옛 지구당)에서 오래된 당원 명부를 중앙당에 올리면서 ‘사망 당원’이 선거인단으로 등록된 사실도 확인됐다. 고승덕 당 선거관리위원회 대변인은 “자기가 당원인 줄도 모르고 항의해오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결국 지난 6월20일 확정된 21만2400명의 선거인단 가운데 624명이 탈당 의사를 밝혀 최종 선거인단은 21만1776명으로 줄었다.
당 전국위원회가 비상대책위원회의 여론조사 없는 ‘1인1표제’ 경선규칙을 ‘1인2표제, 여론조사 30% 반영’으로 변경한 것에 대해 법원이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효력을 정지시킨 것도 정당사의 오점으로 남았다. 전당대회를 이틀 앞둔 지난 2일 부랴부랴 전국위를 다시 열어 재의결을 했지만, ‘위임권 행사’를 통한 낡은 정당 문화가 그대로 확인됐다.
재보선 패배 뒤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또다시 계파 줄세우기와 특정인 밀어주기의 낡은 관행이 재현된 것도 4일 출범할 새 지도부에겐 큰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임인택 박현정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