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동지방정부’ 어떻게
범야권 단일후보로 나섰던 박원순 서울시장이 ‘공동지방정부’를 어떻게 꾸릴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동정부의 구체적인 모습은 인사를 통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은 시 공무원 출신이 아닌 외부 인사 20명 안팎을 정무부지사, 시민소통특보, 비서실장 등 정무직 공무원에 임명할 수 있다.
야권에서는 정무부시장을 놓고 박 시장 선대위에 참여했던 김형주 전 열린우리당 의원, 이철희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박 시장이 “민주당에 큰 빚을 졌다”고 말하고 있는데다, 서울시의회 다수당이 민주당이어서 시민사회 인사보다는 민주당 등 정당 쪽에 돌아갈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장선 민주당 사무총장은 2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무부시장은 민주당에서 추천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정무부시장으로 누구를 염두에 두고 있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현재론) 없다. 여러 가지로 고민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박 시장은 이날 2명의 행정부시장 인사에서 ‘변화’를 꾀했다. 서울시 행정1부시장에 김상범(54) 서울시정개발원장을, 행정2부시장에 문승국(59) 전 서울시 물관리국장을 내정했다. 그동안 행정부시장은 통상적으로 1급에서 승진 임명됐는데, 본청 외부 인사를 임명해 시 공무원 사회에 새로운 변화를 주려는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행정부시장은 시장이 임명 제청을 하고 대통령이 임면권을 갖는 국가직이다.
권혁철 이지은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