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협정 재협상 국민행동’ 창립대회가 18일 오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위안부 할머니등 ‘국민행동’ 창립…“피해배상 해결안돼”
1965년 체결된 한일협정을 전면 재협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당시 6·3 한일협정 반대 운동 주역들과 한일협정에서 철저히 소외됐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전면에 나섰다.
‘한일협정 재협상 국민행동’(국민행동)은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언론회관에서 창립대회를 열어 “한일협정은 일본이 미국의 압력하에 정통성 없는 군사정권을 매수한 매국적이고 굴욕적인 협정”이라며 “군부독재가 국민 의사를 짓누르고 체결한 한일협정을 전면 재협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행동은 창립 선언문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계속되고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 봉환 문제, 약탈당한 문화재 반환 문제, 당시 피해를 본 한국민에 대한 개인적 배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근본 이유는 잘못 체결된 한일협정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국민행동에는 6·3운동 주역으로 꼽히는 이부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송철원 현대사기록연구원장이 각각 상임 공동대표와 공동대표로 참여했다. 또 함세웅 신부, 청화 스님, 이해학 목사,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가 상임공동대표를, 이용수(84)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 고은 시인, 한승헌 전 감사원장 등이 고문을 맡았다.
이장희 한국외국어대 교수(국제법)는 “식민지배의 불법성을 적시하고 그에 대한 배상과 보상을 확인받는 내용으로 한일협정을 재협상하는 것은 정당하고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민행동은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려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 1000회를 맞는 다음달 14일 전국적 연대집회에 나서는 것을 시작으로 ‘재협상 전국민 서명운동’과 시도본부 결성대회 등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