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통령 측근 비리 등 영향
정치권·행정부 순 “해결 시급”
정치권·행정부 순 “해결 시급”
우리 국민의 65.4%가 한국 사회가 ‘부패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공직사회에 대해서는 56.7%가 ‘부패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10월26일부터 11월24일까지 일반 시민과 공무원, 기업인, 전문가, 외국인 등 4530명을 대상으로 ‘2011년도 부패인식·경험’을 조사해 9일 발표했다. 이 결과를 보면 한국 사회가 부패했다는 시민들의 인식은 지난 이명박 정부 들어선 2008년 59.1%에서 2009년 56.6%, 2010년 51.6%로 꾸준히 떨어지다가 올해 65.4%로 치솟았다. 또 공직사회가 부패했다는 시민들의 인식도 2008년 57.1%, 2009년 56.6%, 2010년 54.1% 등으로 내려가다가 올해 56.7%로 올라갔다. 최근 불거지는 대통령 측근과 검사들의 비리가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일 발표된 국제투명성기구의 2011년 부패인식지수 조사에서도 한국은 10점 만점에 5.4점을 받아 지난해 39위에서 43위로 떨어졌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가운데서도 27위로 하위권이다.
부패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분야로는 정당과 국회 등 정치권이 압도적으로 높게 꼽혔다. 시민(54.2%), 공무원(61.0%), 기업인(63.3%), 전문가(81.9%) 등 모든 사람들이 가장 부패한 분야로 정치권을 지목했다. 그 다음으로 행정부와 사법부, 공기업, 언론, 교육, 종교 등 차례였다. 가장 덜 부패한 분야는 문화·예술·체육계라고 대답했고, 그 다음이 노동단체, 시민단체, 민간기업 차례였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이며, 표본오차는 ±2.62%~±4.9%p이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