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쇄신 낙인땐 손해’ 판단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의 일부 위원들이 제기한 ‘이명박 정부 실세 퇴진론’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대상으로 지목된 이재오 의원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김종인·이상돈 비대위원이 ‘친이 실세’를 겨냥한 인적 쇄신론을 제기한 데 대해 자신의 이름을 드러내놓고 반발하는 친이계는 장제원 의원 정도다. 장 의원은 4일에도 <문화방송>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종인·이상돈 위원이 사퇴하지 않으면 비대위와의 결별도 각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재오 의원 쪽은 장 의원의 주장을 “개인적 발언”이라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의 측근인 권택기 의원은 “분란을 일으키는 비대위원도 문제지만, 장 의원처럼 싸우는 것도 당 화합과 쇄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친이계) 집단 움직임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속으로는 부글부글 끓고 있다. 친이계의 한 의원은 “이재오 의원인들 왜 하고 싶은 말이 없겠느냐”며 “이 상황에서 나서는 게 도움이 안 되니까 좀더 지켜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오 의원은 사석에서도 비대위와 관련한 얘기를 꺼린다고 한다. 지금 공개 발언을 해봤자 ‘반쇄신’으로 비치고 갈등이 커지면 득될 게 없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