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만나 비대위에 문제제기
정몽준·홍준표 한나라당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8일 한자리에 모여 ‘박근혜 비상대책위 체제’에 대한 본격적인 문제 제기에 나섰다. 이들은 이날 오후 서울 인사동에서 만나 김종인·이상돈 비대위원의 사퇴와 선거 책임을 묻는 공천 방식 불가론 등을 공식 제기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2시간여 회동 뒤 “비대위의 쇄신에 적극 돕고 동참하기로 했다”면서도 “(다만) 선거 패배에 책임을 물어 (기존 당 지도부에게 4월 총선에서) 용퇴하라고 한다면, 박근혜 위원장도 이번 4·11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정계은퇴해야 하는 것인가”라며 모임의 분위기를 전했다. 김종인·이상돈 위원이 중심이 되어 종전의 당 지도부를 포함한 ‘엠비 실세 용퇴론’을 제기한 데 대한 반격인 셈이다. 이날 모임은, 일부 비대위원의 자질을 명분 삼아, 박근혜 비대위의 공천 물갈이를 포함한 일방적 쇄신을 견제하려는 ‘반박근혜 연합’의 성격을 띤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대위 출범 뒤 이른바‘당내 2인자’들이 구축한 첫 연합전선인 셈이다.
한 참석자는 최근 당 정강정책의 ‘보수’ 삭제 논란을 빌려, “진보좌파는 쓰레기, 잔가지까지 긁어모아 총선, 대선에 임하려 하는데 보수우파는 한 세력·계파가 독점적으로 당을 지배, 운영하면서 경쟁세력을 몰아내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 전 대표는 “쇄신 자격이 있는 이들이 쇄신을 해야지, 이당 저당 돌아다니면서 비례대표를 했던 ‘보따리 장수’가 와서 주인을 나가라는 게 말이 되느냐”며 “박근혜 위원장이 이들의 사퇴를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쇄신을 위해 금품 전당대회의 관련자들이 스스로 정계은퇴하도록 하는 게 방법이겠느냐’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선 이야기 안 하겠다”고 말했다.
본래 참석하기로 알려졌던 이재오 전 장관은 이번 모임이 ‘계파 대결’의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판단에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