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 의원
“‘매장량 근거’ 보고서 입수못했다고 국회서 거짓말”
“청와대 알고도 주의 징계만”…박영준 연관 의혹도
“청와대 알고도 주의 징계만”…박영준 연관 의혹도
한나라당을 탈당한 무소속 정태근 의원이 이른바 ‘카메룬 다이아몬드 게이트’ 사건과 관련해 “외교부가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축소 은폐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19일 오전 문화방송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렇게 말하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라든지 금융감독원이라든지 감사원이나 검찰, 이런 곳에서 이 문제를 밝히기 위해 적시에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카메룬 다이아몬드 게이트’는 씨앤케이(CNK) 인터내셔널이란 회사가 막대한 양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채굴권을 확보한 것처럼 언론에 흘려 주가를 끌어올리고 회사 대표인 오덕균씨 등이 803억원대의 시세차익을 챙긴 주가조작 사건이다. 이 과정에서 외교통상부 차관 출신인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이 허위 자료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교부가 보도자료를 만들어 발표하는 등 적극 개입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이 사건과 관련해 오 대표 등 4명을 검찰에 고발하고, 6명을 수사기관에 통보했다.
정 의원은 다이아몬드 게이트 사건을 처음 인지한 시점과 관련해 “애초 언론에 알려진 8월이 아니라 2월”이라며 “당시 청와대 고위 관계자에게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자원개발을 빙자해 주가 조작을 하는데 어떻게 정부가 관여할 수 있느냐’고 문제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있었던 권재진 법무장관 이름을 직접 언급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서 1월 달부터 내사가 있었다고 그러는데 사실이냐’고 물었고, 권재진 법무부장관이 ‘조사했다’고 했고, 그래서 ‘조사하는데 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느냐’고 그랬더니, 그 당시에는 ‘주의 조처만 했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이 사건을 사전에 인지하고, 조사까지 하고도 경미한 징계에 그쳤다는 것이다.
청와대에 이어 다른 정부기관들도 이 사건과 관련해 신속한 대응을 하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정 의원은 “금융감독원에서 처음에는 조사를 시작한다고 했다가 진행도 안 되고, 검찰내사도 당연히 진행 안 되고 그러다가 그 업체가 사업실적이 떨어지니까 주가가 다시 내려가는데 한 6월28일쯤에 외교부에서 또 보도자료를 냈다”고 사건의 전개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보도자료를 내는 과정에서 외교부가 거짓말까지 했다고 폭로했다. “외교부 보도자료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UNDP 보고서’라고 했는데, 보고서를 가져오라고 하니까 처음에는 그런 보고서를 요청하는 것은 외교관례에 어긋난다고 얘기를 했다. 그러나 내가 UNDP에 확인해봤더니만 그것은 공개된 자료라고 하더라.”
정 의원은 “다이아몬드 매장량의 근거가 되는 UNDP 보고서를 외교부가 입수를 했다”며 “당연히 거기에는 매장량이 안 나오는데, 이분들이 입수를 못 했다고 국회에서 공개적으로 거짓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정 의원은 권력 실세와 관련해 전날에 이어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폭로의 수위를 높였다. 박영준 전 차장은 2010년 5월 민관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카메룬을 방문했을 당시 카메룬 정부에 씨앤케이를 잘 도와달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이 문제를 조사를 했고, 당시 박영준 지식경제부 차관이 곧 경질될 것이라는 말이 돌아 ‘조사가 되겠구나’라고 안심을 했다”며 “그러나 나중에 흐지부지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 전 차장의 사건 관여와 관련해 “오덕균 대표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오덕균씨가 내 배경이 되는 힘은 박영준’이라고 이야기를 했고, 국무차장 시절 민관합동자원외교단을 이끌고 카메룬에 가서 이 업체(CNK)를 굉장히 지원해줬다”고 말했다. 박종찬 기자 pjc@hani.co.kr
정 의원은 권력 실세와 관련해 전날에 이어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폭로의 수위를 높였다. 박영준 전 차장은 2010년 5월 민관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카메룬을 방문했을 당시 카메룬 정부에 씨앤케이를 잘 도와달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이 문제를 조사를 했고, 당시 박영준 지식경제부 차관이 곧 경질될 것이라는 말이 돌아 ‘조사가 되겠구나’라고 안심을 했다”며 “그러나 나중에 흐지부지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 전 차장의 사건 관여와 관련해 “오덕균 대표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오덕균씨가 내 배경이 되는 힘은 박영준’이라고 이야기를 했고, 국무차장 시절 민관합동자원외교단을 이끌고 카메룬에 가서 이 업체(CNK)를 굉장히 지원해줬다”고 말했다. 박종찬 기자 pj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