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표심잡기 경쟁
현지 후원조직 앞다퉈 결성
국내에선 맞춤형 공약개발
현지 후원조직 앞다퉈 결성
국내에선 맞춤형 공약개발
이제 온 세계가 다 ‘표밭’이다. 재외국민들이 사상 처음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4월 총선을 맞아 여야 정치권의 국외 표심잡기 경쟁도 점점 달아오르고 있다.
움직임은 두 갈래다. 국내에선 당이 중심이 돼 재외국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공약 개발과 홍보 전략 짜기에 나섰다. 실제 표가 움직이는 현지에선 한인 정치조직을 결성해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재외국민 표밭갈이의 주무대는 재외 유권자들이 밀집된 미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다. 미국에선 지난해 5월께부터 ‘한나라 어브로드’라는 한나라당 후원 모임과 ‘민주평화통일 한인연합’이라는 민주통합당 후원 조직이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카고, 애틀랜타, 워싱턴 등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앞다퉈 출범했다. 이들은 현재 지역 한인회와 연계해 투표 독려운동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에선 민주당 쪽이 좀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도쿄에서는 박정희 정부 시절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27일 민주당 지지 성향의 동포 단체인 민주포럼이 출범했다. 아직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쪽 지지자 모임은 출범하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재일 동포 단체인 민단은 여권 성향으로 분류돼 왔지만, 지난해 1월 정치적 중립을 강력히 표방한 바 있다.
중국에선 아직 각 정당 지지 조직의 뚜렷한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다만 향우회 등은 이미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의 한인단체 관계자는 “최근에는 특정 지역 색채를 띤 새로운 단체들의 창립 행사도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여야는 현지 지지조직과 연계해 지지층의 투표 신청을 독려하는 한편, 재외국민의 권익 보호와 정치적 활동 확대를 위한 정책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정치권은 지역별로 표가 분산되는 이번 총선보다 올 12월 대선에서 재외국민 투표가 한층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특히 단기 재외 체류자들보다 보수적 성향이 강한 영주권자들의 투표율을 높이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서병수 새누리당 재외국민위원장은 “영주권자들도 단기 재외 체류자처럼 우편으로 투표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또 외국 영주권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국내 주민등록을 유지하게끔 허용하는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민주당은 당헌상의 재외한인 지원조직인 세계한인민주회의를 중심으로 전략을 가다듬고 있다. 영주권자가 많고 한인만의 별도 교육에 대한 요구가 크지 않은 미국·일본은 ‘한글학교’를, 단기 체류자가 대부분이고 자녀 교육이 가장 큰 관심사인 중국과 동남아, 남미 등은 ‘한국학교’를 각각 지원하는 등 지역별 맞춤형 정책으로 표심을 사로잡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국내에 세금을 내면서도 교육과 의료 등에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재외국민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워싱턴 베이징/권태호 박민희 특파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대기업 담합 ‘장보고 잠수함’ 나눠먹기
■ 비키니? 그게 핵심이 아니다…마초들 무감각이 문제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박근혜 리더십’에 불만 많지만 새누리 의원들 ‘공천심사 앞’ 속끓는 침묵
손원제 기자, 워싱턴 베이징/권태호 박민희 특파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대기업 담합 ‘장보고 잠수함’ 나눠먹기
■ 비키니? 그게 핵심이 아니다…마초들 무감각이 문제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박근혜 리더십’에 불만 많지만 새누리 의원들 ‘공천심사 앞’ 속끓는 침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