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현장투표와 병행
여당에 선거법 개정 압박
여당에 선거법 개정 압박
민주통합당은 6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4·11 총선 후보자 선정에 모바일 투표를 전면 도입하기로 했다. 총선 공천 과정에 모바일 투표가 도입되는 건 처음이다.
신경민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을 위한 국민경선 방법은 모바일 투표와 현장 투표를 일반적 방법으로 하고 후보자 간 합의시 100% 국민여론조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신 대변인은 “선거인단 모집 결과 해당 선거구 유권자 총수의 2% 이하인 경우 (동원 경선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모바일 현장투표 70%와 여론조사 30%를 합산하도록 하고 공천심사위원회가 결정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의 이번 결정은 간편한 모바일 투표를 통해 시민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제도적으로 민심에 부합하는 공천 쇄신을 이루겠다는 당 지도부의 당초 약속을 재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엔 새누리당과의 선거법 개정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혼자서라도 모바일 투표를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으로 평가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선관위가 투표 신청자의 해당 지역구 유권자 여부를 가려 통보하도록 하는 선거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민주당 단독으로 이를 운용하기는 무리라는 실무진의 1차 보고서가 최근 당 지도부에 올라왔다”며 “하지만 당 지도부가 ‘당 혁신의 상징인 모바일 투표를 포기할 경우 혁신의지 실종이라는 비판이 우려된다’며 이행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번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정치 신인들은 환영했다. 경기도 용인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윤승용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현장 투표만 할 경우 평일에 주부나 자영업자들을 동원하게 되는 반면, 모바일이 되면 젊은 층과 직장인들도 다수 참여할 수 있다”며 “모바일은 신인들에게 필수”라고 반겼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에 선거법 개정을 거듭 압박하는 동시에, 법 개정 불발에 대비한 대안 검토에 착수했다. 당 관계자는 “신용정보회사에 확인을 의뢰하는 등 돈과 인력이 많이 들지만, 총선용 국고지원금이라도 미리 당겨쓰면 된다”고 말했다. 신 대변인은 “개인정보 침해 소지나 사전 선거운동 여부 등에 대해 선관위에 질의해둔 상태”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