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 자료 내면서 돌연 ‘3차 핵’ 강조
1년 전부터 공개…당국 “당장은 아니다” 인정
1년 전부터 공개…당국 “당장은 아니다” 인정
4·11 총선을 사흘 앞두고 정보당국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자료를 갑자기 내놔 또하나의 ‘북풍’ 시도가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정보당국은 8일 통일부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보내 “북한은 과거 2차례 핵 실험을 실시한 함북 길주군 풍계리에서 3차 핵 실험을 은밀하게 준비하고 있다”며 “북한이 새로운 갱도를 굴착하고 있는데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또 “갱도 입구의 토사는 타 지역에서 반입된 것으로 보이며, 3월부터 그 양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과거 북한은 핵 실험 직전 마지막 준비작업으로 갱도를 토사로 되메워왔다”고 밝혔다.
정보당국은 또 “북한은 2006년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3개월 뒤 1차 핵 실험을 실시했고, 2009년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1개월 후에 핵 실험을 전격 실시했다”며 “이번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지난 3월23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3차 핵 실험 가능성을 내비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이 3차 핵 실험을 하기 위해 갱도 굴착 작업을 하고 있거나 마무리했다는 정보는 1년 전인 지난해 2월과 6월 정부 소식통을 인용한 언론 보도를 통해 이미 공개됐다. 통일부의 한 관리도 “북한의 핵 실험 준비는 지난 2009년 2차 실험 뒤부터 이뤄졌으며, 지난해에도 이야기가 나왔다”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 내용 가운데 새로운 것은 풍계리 일대에 쌓인 토사 사진이 공개된 것 정도다.
정보당국은 자료에서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 실험 실시 예상”이라고 밝혀, 핵 실험이 당장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시인했다. 심지어 이 보도자료를 보내기 전에 통일부 대변인실과 기자실에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관련 자료를 보내겠다”고만 전했다. 핵 실험 관련 자료라는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에 발표된 내용에는 별로 특별한 것이 없다”며 “남북관계를 선거 때 보수 결집용으로나 이용하려는 이 정부의 행태가 정말 어처구니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보당국의 관계자는 “북한의 핵 실험이 중대하고 시급한 안보사항이기 때문에 총선 같은 정치 문제를 고려하지 않았다”며 “이른바 ‘북풍’이라는 것이 여야 가운데 어느 쪽에 유리한지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건희 월급은 ‘0원’ 배당금은 ‘285억’
■ 심상찮은 바람…다급해진 박근혜 또 부산행
■ 성폭력 피해자 개인정보를 온라인 DB로 관리 ‘충격’
■ 주5일 쉬는 박명수 어떻게 할거야?
■ 4·11총선 자판기 세대vs에스프레소세대
■ 이건희 월급은 ‘0원’ 배당금은 ‘285억’
■ 심상찮은 바람…다급해진 박근혜 또 부산행
■ 성폭력 피해자 개인정보를 온라인 DB로 관리 ‘충격’
■ 주5일 쉬는 박명수 어떻게 할거야?
■ 4·11총선 자판기 세대vs에스프레소세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