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운영위 진통
비당권파 ‘비대위 구성’ 현장 발의
당원들 참관막자 한동안 북새통
비당권파 ‘비대위 구성’ 현장 발의
당원들 참관막자 한동안 북새통
10일 서울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밤 11시가 넘도록 진행된 통합진보당 전국운영위원회에서 파국을 향해 치닫던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갈등에 일단 제동이 걸렸다. 양쪽은 12일 중앙위가 열릴 때까지 물밑 접촉을 통해 쟁점에 대한 조율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부정경선 진상조사보고서를 바라보는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시각차가 워낙 선명해,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다. 양쪽은 이날 운영위에 상정된 ‘강기갑 비상대책위원장 추천안’의 처리 방법을 두고 밤늦도록 신경전을 펼쳤다. 운영위의 상위 논의기구인 5월12일 중앙위에 이미 상정된 비대위 구성 인준안을 논의하려면 위원장 추천안도 중앙위 전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권파는 비대위 구성이 아니라 보고서 부실 문제가 우선적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생각이다. 지난 4~5일 운영위에서 전자투표로 통과된 공동대표단 사퇴와 비대위 구성의 근거가 부실한 보고서라는 판단 때문이다. 당권파인 이정희 공동대표는 “비례 진상조사보고서는 전체적인 결론이 달라질 수 있는 정도로 부실하다”며 “편파적이고 왜곡된 보고서는 폐기하고, 전면 재조사를 위한 특별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당권파는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비당권파인 이영희 비례대표 후보 당선자는 “‘조작 물증이 없으니 선거 결과가 유효하다’가 아니다. 비례대표 8번과 10번은 25표 차이인데, 전체 유효투표의 24.2%가 무효”라며 “이 이상 어떤 문제가 더 있어야 하는 거냐”고 맞섰다. 이런 생각 때문에 비당권파는 이날 비대위원장 추천안을 현장발의했고, 표결 처리도 염두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비당권파가 비대위원장으로 추천한 강기갑 의원이 당권파의 ‘동의’가 중요하다고 버티면서 기류가 바뀌었다. 보고서의 신뢰도, 사태 수습책 등 양쪽의 기본적인 생각은 변함없지만, 12일 중앙위가 열리기 전까지 절충점을 찾아보자는 쪽으로 돌아선 것이다. 비당권파가 비대위원장 추천안을 철회하고, 대표단 합의 등을 요구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이날 운영위는 재석 41명의 만장일치로, 경선 전반을 추가로 조사하는 ‘진상보고서 결과에 따른 후속처리 및 대책을 위한 특위구성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특위를 구성해도 당의 혼란이 쉽게 수습되기 어려워 보인다. 보고서 폐기와 경쟁부문 비례대표 후보 사퇴 당원 총투표 등을 둘러싼 양쪽의 시각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이날 운영위가 열리기 전 회의장엔 당원 30여명이 ‘당원 총투표 실시! 당원의 힘으로 위기 극복!’ ‘당원모독 언론 플레이’ 등의 손팻말을 들고 서 있기도 했다. 대표단이 원활한 진행을 위해 당원들의 참관을 막자 일부 당원들이 반발해 25분가량 회의 시작이 늦어지기도 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