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왼쪽)·안철수(오른쪽)
양쪽, “공동정부 구상 관련 미리 얘기 나눈적은 없어”
가치 공유 연대 가능…표 분산 막자는 대선 승부수
가치 공유 연대 가능…표 분산 막자는 대선 승부수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공동정부 구성까지 가야 한다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제안은 일종의 정치적 승부수다. 문 고문이 범야권 대선 후보 단일화를 넘어 ‘공동정부 구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보인다.
우선 단일화 효과를 굳히기 위해서다. 문재인 고문 쪽의 한 참모는 11일 “문 고문 등 민주당 후보와 안 원장이 경선이든 담판이든 단일화된다고 해서 양 후보의 지지층이 대선 후보로 결정난 쪽으로 결집한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두 세력 지지층의 성향이 일부 다르기 때문에, 두 세력이 함께 정권에 참여할 때 표가 분산될 가능성이 가장 낮다고 보는 분석이다.
4월 셋쨋주 ‘리얼미터’ 여론조사를 보면, 대선 주자 다자 대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42.1%, 안 원장이 23.9%, 문 고문이 13.5%를 기록했다. 안 원장과 문 고문이 공동정부 구성을 매개로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경우 역전도 노려볼 만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공동정부 구상은 집권 이후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한 기반도 된다는 판단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문 고문은 지난해 9월 야권통합 운동에 나서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정체성이 전혀 다른 재벌 정치인과 단일화를 거쳐야 했다. 이 때문에 개혁이 한계에 부딪혔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한 참모는 “이 때문에 이번엔 합리적 개혁세력인 안 원장 세력과 진보적 개혁세력인 통합진보당, 시민사회 등 ‘상식과 개혁’의 가치를 공유하는 세력과 공동정부를 구성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고문이 구상하는 공동정부는 민주당과 안철수 세력이 대주주로, 통합진보당과 시민사회 등이 소주주로 참여하는 민주개혁연립정부 형태를 띨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한 참모는 “가치와 정책에서부터 함께 실천 가능한 공약수를 먼저 정해야, 집권 이후에도 세력 간 충돌 여지를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공동정부 구상이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권한을 헌법에 기반해 구분하는 ‘분권형 개헌’까지 내다본 것 같지는 않다. 19대 국회는 구도상 야당의 개헌 추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개헌을 하려면 여당까지 포함하는 ‘대연정’이 추진돼야 하지만, 문 고문은 정체성이 다른 세력과의 대연정에는 반대하는 뜻이 분명하다. 참여정부 중반 때처럼 총리가 내정의 상당 부분을 맡는 책임총리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문 고문의 신중한 성격으로 미뤄 공동정부 구성과 관련해 안철수 원장 쪽과 사전 교감이 있지 않았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일단 참모들은 “공동정부와 관련해 두 분이 미리 만나 얘기한 적은 전혀 없다. 둘 다 그럴 분이 아니다”라고 했다. 다만 문 고문이 안 원장과 몇 차례 만났고, 전화 통화도 했다는 점에서 양쪽이 가치와 시대정신에서 공감대를 이룬 것이 이번 구상을 내놓게 된 한 배경일 가능성은 있다. 문 고문은 10일 <한겨레> 인터뷰에서 “안 원장과의 만남을 (외부에서) 정치적으로 보니까 밝히지를 못하는 것인데, 필요하면 만나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일부에선 ‘문재인 구상’의 결과 권력의지가 강하지 않은 문 고문이 대통령직을 무소속의 안 원장에게 양보하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이들도 있다. 안 원장이 오히려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를 양보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이런 점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 고문 쪽은 “각 후보가 정책 비전 제시 등을 통해 얼마나 지지율을 높여놓을 것인가가 결과를 가를 것”이라고 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찬경 200억 인출때 직원 저항하자 비밀번호 바꿔 빼가
■ 인천 여고서 개·고양이 해부…동물학대 논란
■ ‘미 쇠고기 수입중단’ 5번째 촛불집회 열린다
■ ‘넝쿨당’ 사랑이 왜 이리 불편한가
■ 이혼 뒤 잠수탄 옛남편…옛아빠는 없는거잖아요
■ 김찬경 200억 인출때 직원 저항하자 비밀번호 바꿔 빼가
■ 인천 여고서 개·고양이 해부…동물학대 논란
■ ‘미 쇠고기 수입중단’ 5번째 촛불집회 열린다
■ ‘넝쿨당’ 사랑이 왜 이리 불편한가
■ 이혼 뒤 잠수탄 옛남편…옛아빠는 없는거잖아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