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보호대를 한 조준호 공동대표(가운데)가 14일 국회 정론관에서 사퇴 인사를 하는 동안 심상정 공동대표가 눈물을 닦고 있다. 왼쪽은 유시민 공동대표.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비례대표 전원사퇴 결의’ 이후
‘강기갑 비대위’ 꾸렸지만
사퇴 강제할 방법은 없어
민심서 고립되는 당권파
“소수파 연합이 당 흔들어”
‘강기갑 비대위’ 꾸렸지만
사퇴 강제할 방법은 없어
민심서 고립되는 당권파
“소수파 연합이 당 흔들어”
중앙위원회 폭력사태로 얼룩진 통합진보당은 14일 강기갑 의원이 위원장을 맡는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지만 갈등과 대립은 장기화할 전망이다. 그 중심에는 경쟁부문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사퇴 문제가 있다. 중앙위원회가 이날 아침까지 온라인 전자회의를 열어 ‘경쟁부문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총사퇴’가 포함된 당 혁신 결의안을 가결처리했으나, 당권파 쪽인 이석기(비례대표 2번)·김재연(비례대표 3번) 당선자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두 당선자 쪽은 거취에 대한 공식 견해를 밝히지 않고 있다. 이석기 당선자 쪽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비례대표 진퇴 문제는 당원 총투표를 통해 결정하자고 제안을 했는데 결국 중앙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이 당선자가 선거 부정과의 관련성이나 책임이 드러난 것도 아닌데 당권파의 핵심이라며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는 결의안은 받아들이기 힘든 것 아니냐”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지난 12일 중앙위 폭력사태 이후 당권파에 대한 당 안팎의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지만 사퇴 불가 입장엔 변함이 없다는 얘기다.
중앙위가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사퇴 결의안을 통과시켰지만 법적 강제력은 없다. 강기갑 비대위원장 체제가 출범했지만 당권파 비례대표 당선자들이 사퇴를 거부하면 이를 강제할 뾰족한 방법이 없는 것이다.
당권파 쪽은, 비례대표 경선 부실·부정 발표→경쟁부문 비례 총사퇴→혁신비대위 전환으로 이어진 대표단 회의와 진상조사위, 운영위, 중앙위의 결과를 일종의 ‘비당권파 쿠데타’로 인식하고 있다. 당원 분포상 소수파(비당권파)들이 연합해 전체 판을 흔들고 지금 상황까지 몰고 왔다고 보는 것이다.
당권파들은 비대위가 구성돼 당장 당의 주도권을 내주더라도 원내에서 의원단의 다수를 확보하고 있으면 다시 미래를 도모할 수 있다고 보는 것 같다. 통합진보당은 4·11 총선에서 지역구에서 7석, 비례대표 6석으로 모두 13석을 확보했는데 이 가운데 당권파와 가까운 쪽은 7명이다.
당권파는 당 지도부를 새로 뽑는 6월 당원 투표에서 재기를 모색하려는 기류다. 당권파 쪽 한 인사는 “(통합진보당은) 다 망했고 다시 일어서려면 몇 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원칙대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당권파와 비당권파) 양쪽이 6월 당 지도부 경선에서 경쟁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변수는 중앙위 폭력사태 이후 지지층과 국민의 비판 여론이 당권파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강기갑 비대위원장 체제가 혁신안을 마련해 가는 과정에서 당권파는 민심과 당심으로부터 더욱 고립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당권파의 의도대로 돌아가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민주노총은 14일 산별대표자회의에서 “중앙위 폭력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는 사태”라며 “책임자 처벌이 있어야 하며 민주노총의 마지막 기대마저 저버린 행위임을 확인했다”고 의견을 모았다. 민주노총은 17일 중앙집행위에서 지지철회 여부 등 통합진보당 사태 문제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중앙위 폭력 사태를 계기로 통합진보당에 입당해 ‘진보 시즌2’ 운동을 시작하자는 움직임도 온라인상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정태인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원장이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분명 80년대 시작된 운동이 한 막을 내렸습니다. 진보 시즌2를 시작해야죠. 현재 상황에선 장기 표류가 불가피할 거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시즌2 개막을 앞당겨야죠”라는 글을 올려 통합진보당 입당 뜻을 밝혔다. 이후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중심으로 통합진보당 가입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김보협 김소연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찬경, 전 총리 아들을 상임이사로 채용
■ 인천 장례식장 난투극 조폭들 최고 18년 선고
■ 김재철, 무용가집 근처 술집·식당서 2500만원 결제
■ ‘미워도 다시 한번’…통합진보당 가입운동 확산
■ 비울수록 채워지는 ‘화수분’ 쌀독
■ 김찬경, 전 총리 아들을 상임이사로 채용
■ 인천 장례식장 난투극 조폭들 최고 18년 선고
■ 김재철, 무용가집 근처 술집·식당서 2500만원 결제
■ ‘미워도 다시 한번’…통합진보당 가입운동 확산
■ 비울수록 채워지는 ‘화수분’ 쌀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