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국방부외 중앙부처 이전 합의
정부 부담액 상한선 10조 안팎될듯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그동안 거론돼온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가운데 청와대와 외교·안보 부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앙행정기관을 이전하는 ‘행정중심도시’ 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김한길 국회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21일 서울 영등포동 열린우리당 당사에서 열린 당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당정은 최근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협의에서 충남 공주·연기 지역에 옮겨가는 행정부처의 규모와 관련해 대통령과 함께 있어야 할 외교부와 국방부는 이전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재정경제부 등을 옮기지 않으면 경제부처 산하 공공기관 이전도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야당과 절충이 더 필요하지만, 외교·국방부를 제외한 행정부처를 모두 이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공주·연기 지역에 새롭게 건설될 도시와 관련해 정부가 부담해야 하는 예산의 상한선을 관련 특별법에 명시하기로 했다”며 “지난해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 당시 비용을 11조5천억원으로 추산했던 점을 감안하면 상한선은 10조원 안팎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당정 협의를 통해 정부과천청사 이전에 따른 후속대책, 새 도시로 이전하는 대학·기업에 대한 지원책 등을 논의한 뒤, 오는 27일부터 국회에서 한나라당과의 절충을 통해 최종 단일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그동안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으로 △행정특별시 △행정중심도시 △교육과학연구도시 등 3개 대안을 검토해왔다. 또 한나라당은 △감사원·법무부·재경부 등 정치·행정 중추기관을 포함한 57개 기관 이전안 △정치·행정 중추기관을 제외한 49개 기관 이전안 △교육인적자원부·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 등 17개 기관 이전안 등 3개 대안을 마련한 상태다. 국회 행정수도특위 소위 위원인 최경환 한나라당 의원은 “특정한 안을 고집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여당과는 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문제점, 이전 지원책 등을 집중 협의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정부 부담액 상한선 10조 안팎될듯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그동안 거론돼온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가운데 청와대와 외교·안보 부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앙행정기관을 이전하는 ‘행정중심도시’ 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김한길 국회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21일 서울 영등포동 열린우리당 당사에서 열린 당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당정은 최근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협의에서 충남 공주·연기 지역에 옮겨가는 행정부처의 규모와 관련해 대통령과 함께 있어야 할 외교부와 국방부는 이전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재정경제부 등을 옮기지 않으면 경제부처 산하 공공기관 이전도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야당과 절충이 더 필요하지만, 외교·국방부를 제외한 행정부처를 모두 이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공주·연기 지역에 새롭게 건설될 도시와 관련해 정부가 부담해야 하는 예산의 상한선을 관련 특별법에 명시하기로 했다”며 “지난해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 당시 비용을 11조5천억원으로 추산했던 점을 감안하면 상한선은 10조원 안팎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당정 협의를 통해 정부과천청사 이전에 따른 후속대책, 새 도시로 이전하는 대학·기업에 대한 지원책 등을 논의한 뒤, 오는 27일부터 국회에서 한나라당과의 절충을 통해 최종 단일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그동안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으로 △행정특별시 △행정중심도시 △교육과학연구도시 등 3개 대안을 검토해왔다. 또 한나라당은 △감사원·법무부·재경부 등 정치·행정 중추기관을 포함한 57개 기관 이전안 △정치·행정 중추기관을 제외한 49개 기관 이전안 △교육인적자원부·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 등 17개 기관 이전안 등 3개 대안을 마련한 상태다. 국회 행정수도특위 소위 위원인 최경환 한나라당 의원은 “특정한 안을 고집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여당과는 행정기관 이전에 따른 문제점, 이전 지원책 등을 집중 협의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