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경남지사(왼쪽)와 인재근 의원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평화국민연대의 대선후보초청 간담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민주당 대선주자 토론회서
“총선 당선되자 당 사당화”
“총선 당선되자 당 사당화”
김두관 경상남도 지사는 25일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독재자의 딸’이라고도 불리지만, 이미 본인이 독재자가 돼 있다”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날 민주통합당 내 개혁성향 모임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주자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이렇게 주장했다. 김 지사는 “박 전 비대위원장은 (19대 총선에서) 당선되자마자 당을 사당화했고, 당의 다른 대선 주자들이 일제히 국민참여경선을 주장하지만 오늘 경선 룰을 확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점에 비춰) 야권 주자들의 지지율이 낮긴 하지만, 8월말께 시작되는 당내 경선에서 박 전 비대위원장에 대항하는 후보 경쟁력의 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김 지사는 자신의 대선 출마를 우려하는 지역 여론과 관련해 “내일 민주도정협의회에서 최종 협의도 하겠지만, 사과할 부분이 있으면 사과도 하고 도와달라는 요청도 드리겠다”며 출마를 강행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지역 공동정부에 참여했던 당과 시민사회 상당수 인사들이 제가 중도에 도지사 직을 정리하고 대선에 참여하는 부분에 많은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며 “그러나 제가 경남을 덜 사랑해서가 아니라 조국이 처한 상황에서 제가 민주진보진영에서 할 일이 있겠다 싶어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현재 여나 야나 다 성장에 대해 말하고 있다. 성장을 말하면 말할수록 무능함을 자인하게 되는 것”이라며 다른 야권 대선 주자들의 성장 연계형 경제정책을 비판한 뒤 “이제 패자에 단순히 기회를 주는 사회가 아니라 덜 성공한 사람은 있어도 패자는 없는 나눔경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장만능주의적 성장이 아니라, 패러다임을 바꾼 성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세계적인 탈원자력 흐름에 맞춰) 폐로산업,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산업 등 새로운 성장산업을 국가가 주도해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선주자로서 자신의 경쟁력에 대해 “남해군수 7년과 도지사를 하면서 새누리당 주도의 의회와 설득도 하고 타협도 하면서 여러 정책들을 최종적으로 이끌어냈다”며 “연합정치를 안해본 사람이 (대통령이 된다고) 연합정치, 공동정부를 잘한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누구보다 장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