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훼손 고소인측 참고인으로 조사 받았는데 피의자로 왜곡”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2일 트위터에 올린 글(사진)에서 “(저축은행 관련 로비설을 유포한) 이종혁 새누리당 전 의원을 고소하고, 고소인 쪽 참고인 조사를 받았는데, <동아일보>가 저를 거꾸로 피의자로 다뤘다”며 “참으로 대단한 신문”이라고 비판했다.
동아일보가 이날 “문 고문이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재직하던 2003년 금융감독원의 부산저축은행 검사를 완화해달라는 취지의 전화를 금감원 담당 국장에게 건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한 데 대한 반박이다. 신문은 검찰이 지난달 극비리에 문 고문을 소환조사했으며, 전화에 청탁성은 있으나 대가성이 없어 문 고문을 무혐의 처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문 고문은 이 보도에 대해 “저는 부산저축은행과 관련해 검찰로부터 어떤 혐의를 받거나 수사, 내사받은 사실이 없다”며 “참으로 대단한 왜곡 능력”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동아일보 보도만 보면 문 고문이 청탁 전화를 한 혐의로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은 것처럼 읽히지만, 사실은 고소인 쪽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는 것이다. 실제 부산지검은 이날 “문 고문 쪽의 명예훼손 고소와 관련해 사실 확인을 위해 지난달 문 고문이 고소인 쪽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고 밝혀 문 고문의 주장을 확인했다.
앞서 문 고문이 대표 변호사로 있는 법무법인 부산은 지난 3월 이종혁 전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이 전 의원이 그 직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 고문이 민정수석 시절 금감원에 청탁 전화를 했다’며 ‘법무법인 부산이 2004~2007년까지 부산의 그 저축은행으로부터 59억원의 사건 수임을 받은 것은 뇌물 성격’이라고 허위 주장을 했다는 것이다.
문 고문 쪽은 당시에도 “문 고문은 금감원 국장을 알지도 못하고, 청탁한 적도 없다”며 “사건 수임은 원래 다른 법무법인이 건당 10만~20만원짜리 소액 사안 수십만건을 맡은 것인데, 사건이 너무 많다고 해서 우리 법무법인에서도 나눠 맡게 된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문 고문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동아일보가 무슨 의도로 그런 황당한 보도를 한 것인지 정말 어이가 없다”며 “동아일보에 선거에 부당하게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특정 정당, 특정 후보의 도우미 역할을 하지 말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고문 캠프 쪽은 “제1야당 대선주자를 흠집내기 위한 악의적 오보”라며 이날 동아일보 쪽에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손원제 기자, 부산/김광수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올림픽 성화봉송 문대성, ‘태권왕’ 아닌 ‘철판왕’
■ “서울대 없어지면 연·고대등 사립대만 더 뜰것”
■ 한-일 군사협정 꼭 막아야할 3가지 이유
■ [화보] 울음 참는 피겨여왕 김연아
■ ‘MB의 굴욕’…국회 개원 연설 도중 박수 한번 못 받아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슬로건은 ’통합’이라는 화두에서 만들어졌다. 이정우 기자
■ 올림픽 성화봉송 문대성, ‘태권왕’ 아닌 ‘철판왕’
■ “서울대 없어지면 연·고대등 사립대만 더 뜰것”
■ 한-일 군사협정 꼭 막아야할 3가지 이유
■ [화보] 울음 참는 피겨여왕 김연아
■ ‘MB의 굴욕’…국회 개원 연설 도중 박수 한번 못 받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