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강화·균형 외교 등 포함한
통일·외교·안보정책 ‘3대축’ 제시
통일·외교·안보정책 ‘3대축’ 제시
안철수 대선 후보는 28일 대북 포용정책과 안보태세 강화, 균형외교를 통일·외교·안보 분야 정책의 3대 축으로 제시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서초동 외교센터에서 자신을 돕는 정책 전문가 그룹 ‘내일’의 통일·외교·안보 분야 포럼 ‘포용정책 2.0-평화와 공동번영의 선순환 전략’에 참석해 이런 구상을 밝혔다. 혁신경제, 정치개혁, 복지 분야에 이은 네번째 정책포럼이다.
그는 “경제민주화·복지와 혁신경제라는 자전거의 두 바퀴는 한반도 평화라는 단단한 (기반) 위에서 속도를 내고 잘 달릴 수 있다”며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면 평화, 안보, 경제가 선순환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굳건한 한-미 동맹의 기반하에 한-중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발전시키고 한-일, 한-러, 한-유럽연합(EU) 관계 등 새로운 동아시아 협력체제를 열어야 한다”고 균형 외교 구상을 제시했다.
이날 포럼의 사회는 이봉조 전 통일부 차관이, 주제발표는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이 맡았다. 참여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윤영관 서울대 교수, 최상용 전 주일대사, 김연철 인제대 교수, 김근식 경남대 교수, 조봉현 기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홍성민 안보정책네트웍스 대표 등도 포럼에 합류했다.
안 후보는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정부에서 추진한 포용정책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고 이명박 정부의 상생공영정책을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대북 포용정책의 계승을 강조하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의 차별화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안 후보는 서울 반포동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한반도평화포럼 간담회 및 정책보고서 전달식에 참석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덜컹거리는 부산 “예전처럼 ‘집토끼’ 대우했다간 큰코다칠걸”
■ 서울대 의대 교수들도 “안철수 논문 재탕 의혹은 왜곡”
■ “한명은 대통령, 한명은 총리 어떨까”
■ 무라카미 하루키 “독도는 침략의 역사…자성해야”
■ 길자연 전 한기총 회장, 아들에 왕성교회 세습
■ ‘사랑의 도피’ 15세 소녀-교사 프랑스서 체포
■ [화보] [화보]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섬 제주도
■ 덜컹거리는 부산 “예전처럼 ‘집토끼’ 대우했다간 큰코다칠걸”
■ 서울대 의대 교수들도 “안철수 논문 재탕 의혹은 왜곡”
■ “한명은 대통령, 한명은 총리 어떨까”
■ 무라카미 하루키 “독도는 침략의 역사…자성해야”
■ 길자연 전 한기총 회장, 아들에 왕성교회 세습
■ ‘사랑의 도피’ 15세 소녀-교사 프랑스서 체포
■ [화보] [화보] 하늘에서 본 아름다운 섬 제주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