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행 깬 혁명적 실험” “체계적 의사결정 불가능” 평가 엇갈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후보가 4일 대선 기간 선대위를 이끌 10명의 공동 선대위원장단을 발표했다. 상임 선대위원장이 없고, ‘친노’와 당 지도부가 빠진 3무의 수평형·네트워크형으로 꾸려졌다.
공동 선대위원장단에는 박영선·김부겸·이인영·이학영·안도현·김영경 위원 등 대선기획위원 6명이 모두 포함됐다. 김민영 전 참여연대 사무처장, 사회적 기업인 에듀머니의 제윤경 대표, 고 전태일 열사의 여동생인 전순옥 의원, 호남 출신 4선인 이낙연 의원 등도 공동 선대위원장에 임명됐다. 참여정부 때부터 문 후보와 함께해온 이른바 ‘친노’ 그룹은 포함되지 않았고, 당 지도부도 빠졌다.
여러명의 공동 선대위원장을 두되 한 명의 상임 선대위원장을 통해 일사불란한 지휘체계를 꾸려온 기존 선대위 구성 관행도 깼다. 우상호 공보단장은 “피라미드형이 선대위 체제의 기존 골격인데 시민사회 인사를 전면에 배치하면서 당내 인사를 상임 선대위원장으로 등용하지 않은 것은 혁명적 실험”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 후보는 선대위에서 빠진 당 지도부(이해찬 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김한길 최고위원)와 경선 경쟁후보(손학규·김두관·정세균), 한명숙 전 대표 등 7명으로 후보 자문기구인 ‘고위전략회의’를 구성했다.
이날 인선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우 단장은 “여의도식 선거 관행에서 벗어나 정치와 시민사회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정치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휘자’나 ‘조율자’ 없이 체계적인 의사결정과 집행, 위기대응이 가능하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또 일각에선 당 지도부와 상임 선대위원장이 빠진 공백 속에 ‘친노’ 인사들이 대거 포진한 후보 비서실 중심의 의사결정 구도가 굳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