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2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등록일(11월25~26일)을 ‘후보 단일화’ 시한으로 제시하는 등 단일화 경로와 방식을 공론화하고 나섰다. 그러나 안철수 후보 쪽은 교육·검찰·의료 등 분야별로 개혁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어서 양쪽의 단일화 논의는 당분간 접점을 찾기 어려워 보인다.
문재인 후보의 박영선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평화방송> 인터뷰에서 “이번주 정도에 탐색전을 하다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보는 분들이 많다. 11월25일 (후보 단일화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시각에서 그렇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단일화 방식에 대해 “담판도 좋고 경선도 좋고 어떤 식이든 좋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후보도 이날 선대위에서 “정치혁신을 공통분모로 단일화 접점을 찾아 폭넓고 건강한 토론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철수 후보의 박선숙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은 “국민이 단일화 과정을 만들어주시면 그에 따라 승리할 것이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 국민이 (단일화 과정을) 결정해주는 가운데 방향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해 당장 단일화 협상 테이블에 나설 뜻이 없음을 내비쳤다. 안 후보 캠프 핵심 인사는 “이번주부터 단일화 국면에 돌입할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조만간 검찰개혁·교육·의료복지·외교통일 등 굵직한 정책들을 내놓을 것”이라며 “국민 대 기득권 구도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문 후보 쪽 이인영 공동선대위원장과 안 후보 쪽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이 나란히 참석한 ‘비례대표제 포럼’에서도 양쪽의 다른 입장이 드러났다. 이인영 위원장은 “정치개혁 전반에 (걸쳐) 논의할 틀이나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며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으나, 송 본부장은 “과거 방식인 것 같다”며 선을 그었다.
김보협 김원철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