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평가와 혁신′워크숍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
‘인적 청산보다 통합의 길’ 강조
자유토론서 ‘친노 책임론’ 논란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
‘인적 청산보다 통합의 길’ 강조
자유토론서 ‘친노 책임론’ 논란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핵심세력이 총선·대선 패배의 과오를 진솔하게 고백하고, 이를 토대로 진실과 화해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한상진 민주당 대선평가위원장이 대선 패배로 상처입은 당의 재생 방안으로 대선 주도 세력의 책임 인정을 전제로 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방식의 ‘진실과 화해’ 방안을 제시했다.
한 위원장은 1일 충남 보령 한화리조트에서 열린 ‘혁신과 통합을 위한 민주당 워크숍’ 1세션 발제를 통해 “대선 평가에 따른 당의 선택에는 인적 청산(응보적 정의)과 ‘진실과 화해’가 있다. 인적 청산은 필요하지만 충분조건이 아니다. 파벌싸움을 넘어 진실과 화해로 당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선결 과제로 책임지는 자세를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은 커다란 패배를 하고도 어느 한 분 ‘내 탓이오’라며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정상적 조직이 아니다. 큰 병에 걸려 있다. 책임 있는 사람들은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문 전 후보에 대해 “어쨌든 문 전 후보 지도하에 선거캠프가 꾸려졌고, 그 과정에서 많은 분들이 소외됐고 충격을 받았고 모멸감을 느꼈다. 문 전 후보가 과실을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큰 효과가 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어 “민주당은 안철수 전 후보 쪽에 대해서도 (안 전 후보 책임론 등의) 일방적 발언을 절제하고 ‘내 탓이오’라고 이야기한 뒤 같이 손잡고 가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게 순서”라고 덧붙였다.
문 전 후보와 친노·주류 쪽엔 대선 패배의 정치적 책임을 분명히 인정할 것을, 비주류 쪽엔 인적 청산을 앞세우거나 파벌싸움에 매몰되는 듯한 모습에서 벗어날 것을 각각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워크숍 자유토론에서 최민희 의원이 “이번 대선은 친노가 주도한 게 아니며, 신주류 ‘친문’(친문재인)이 치렀다. 친노 책임론은 실체가 없다”고 말하는 등 친노그룹의 반발이 제기됐다. 비주류 쪽에서는 정대철 상임고문이 “총선과 대선에서 참패한 당 대표와 후보는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나고, 책임 있는 사람들이 차기 당권에 도전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하는 등 사실상의 인적청산론을 폈다.
대선 당시 안철수 후보를 도왔던 한 위원장은 지난달 대선평가위원장직 수락 직후 미국에 있는 안 전 후보에게 전화를 건 사실도 소개했다. 당시 안 전 후보는 “선생님이 저와 함께 일했다는 것 때문에 틀림없이 제 활동을 비틀고 뒤집고 훼손하려는 시도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정치가 그렇지 않으냐. 저와 함께 일했던 것을 잊고 엄정하고 객관적으로 일해달라”고 말했다고 그는 전했다.
정해구 정치혁신위원장은 2세션 발제에서 “민주당의 선거 패배 핵심에는 당의 무능력이 자리잡고 있다. 무능력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은 계파 갈등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 집단지도체제”라며,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또는 단일지도체제로의 변경을 제안했다.
김성곤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3세션 발제에서 “중도, 중원을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 이번 대선의 교훈”이라며 당 강령 개정을 제안했다. 그는 “민주당은 이념정당에서 생활정당으로 나아가고, 산업화 세력을 포용할 필요가 있다. 안철수 세력을 흡수하기 위해서도 균형있는 강령과 정강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대윤 대구동구갑 지역위원장은 “중도라는 허깨비를 두고 선거 때마다 좌클릭, 우클릭 이야기하는 것에 국민은 전혀 관심 갖지 않는다. 세련된 민생정치를 해야 한다”고 했다.
워크숍엔 민주당 의원 127명 중 122명을 비롯해 상임고문단과 원외 지역위원장 등 225명이 참석했다. 문재인 전 후보, 이해찬·한명숙 전 대표는 불참했다.
보령/손원제 하어영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경주 최부자집은 박정희에게 어떻게 몰락했나
■ 대북심리전이라는데 누리꾼 심리가 불편~
■ 법정서 울던 최시중, 사면 받자마자 “난 무죄야”
■ 당신 눈에 독성물질 바르고 참으라 한다면?
■ ‘밥벌이 전쟁’ 노량진, ‘컵밥’ 철거 1순위 이유는?
■ 경주 최부자집은 박정희에게 어떻게 몰락했나
■ 대북심리전이라는데 누리꾼 심리가 불편~
■ 법정서 울던 최시중, 사면 받자마자 “난 무죄야”
■ 당신 눈에 독성물질 바르고 참으라 한다면?
■ ‘밥벌이 전쟁’ 노량진, ‘컵밥’ 철거 1순위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