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 참가하려고 행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법·절차 따른 국회 표결’ 강조 왜?
‘김용준 낙마’에 검증 거부감
정부출범 차질 우려 등 고려 “이동흡 감싸기 절대 아냐”
핵심 측근은 극구 부인 “MB인사 실패 부담 떠안느니
‘털고 가자’ 의중 반영” 해석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6일 ‘상처내기 청문회’ 관행을 또다시 비판하며 ‘법·절차에 따른 국회 표결’을 강조한 것은, 앞으로 있을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및 국회 임명동의안 표결,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등을 염두에 둔 다목적 포석으로 보인다. 국민적 비판 여론이 높은 이동흡 후보자를 감싸는 것으로 비치는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미리 차단막을 침으로써 야당의 검증 칼날을 무디게 해놓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 박 당선인의 발언에 대해 측근들은 “원론적인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구하기’로 해석하지 말라는 것이다. 한 핵심 측근은 “당선인은 창피주기·인신공격성 청문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박근혜 정부가 국회를 국정의 한 축으로 존중할 테니, 국회도 민주적 절차에 따라 표결이 이뤄지는 정상적 관행을 만들어 달라는 당부를 한 것일 뿐이다. 절대 이동흡 감싸기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첫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낙마한 뒤 총리 및 장관 후보자 지명이 늦어지면서 정상적인 정부 출범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야당에 일정한 책임을 넘기려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 새누리당 한 최고위원은 “최근 박 당선인의 청문제도 비판에 대해 당에서도 ‘적절치 않다’는 얘기가 나왔고, 당선인도 직접 발언을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오늘 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라는 공개된 장소에서 표결까지 언급한 것은 다른 정치적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준 후보자 낙마 이후 예비후보들이 공직 진출을 꺼리면서 인재찾기에 한계를 느낀 박 당선인이 현실적 고충을 털어놓은 것이란 해석도 있다. 당선인의 다른 참모는 “언론은 인선을 서두르라 하지만 후보로 거론된 인물들이 검증동의서 제출을 거부하는 등 인선에 상당한 고충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안다. 당선인은 당연히 문제의식을 표출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박 당선인이 최근 강원, 경남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죄인 심문하듯 몰아친다”며 인사청문제도를 비판한 연장선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총리 후보자와 17개 부처 장관, 권력기관장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야당의 검증 공세를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큰 것 같다. 김용준 후보자 낙마 이후 부실 검증 논란에 휩싸이며 정부 출범도 하기 전에 상당한 정치적 타격을 입은 박 당선인이 인사청문 제도와 방식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를 반복하면서 녹록지 않은 ‘검증 파고’를 넘어보려는 계산이란 얘기다. 박 당선인은 5일 새누리당 경북지역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김용준 후보자 때 잘됐으면 좋았을 텐데…. (김 후보자 낙마로) 인선이 더 어려워졌다. 국회 인사청문회가 걱정이다. 내가 (국무총리·장관 등의) 인선을 하면 청문 과정에서 여러분이 잘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의원은 “당선인이 앞으로 지명할 공직 후보자들이 청문회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은 것 같았다”고 전했다. 박 당선인의 발언이 검증 국면을 염두에 둔 전술적 발언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에겐 ‘이동흡 구하기’로 비칠 수밖에 없다. 이는 박 당선인으로서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국회 표결을 통한 ‘이동흡 후보자 털어내기’ 전략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당선인의 한 참모는 “이동흡 후보자는 새누리당 안에서도 비판론이 적지 않아 표결을 해도 부결될 가능성이 있다. 차라리 표결을 통해 털고 가는 게 더 나은 선택 아니냐”고 말했다. 당선인 주변에선 이명박 대통령이 지명철회를 하지 않겠다고 하고, 이동흡 후보자도 버티겠다고 하는데 자유표결을 통한 부결밖에 대안이 없으니, 부결을 전제로 야당과 협상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최진실 사망 전날 함께 있던 기자 “마지막 말은…”
■ ‘이동흡 구하기’ 나선 박근혜, 노림수는?
■ 값 떨어진 변호사…이번엔 7급공무원 채용?
■ “삼성 화성공장 인근 식물서 불산 나와”
■ MB사돈, 사기 혐의로 피소
정부출범 차질 우려 등 고려 “이동흡 감싸기 절대 아냐”
핵심 측근은 극구 부인 “MB인사 실패 부담 떠안느니
‘털고 가자’ 의중 반영” 해석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6일 ‘상처내기 청문회’ 관행을 또다시 비판하며 ‘법·절차에 따른 국회 표결’을 강조한 것은, 앞으로 있을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및 국회 임명동의안 표결,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등을 염두에 둔 다목적 포석으로 보인다. 국민적 비판 여론이 높은 이동흡 후보자를 감싸는 것으로 비치는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미리 차단막을 침으로써 야당의 검증 칼날을 무디게 해놓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 박 당선인의 발언에 대해 측근들은 “원론적인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구하기’로 해석하지 말라는 것이다. 한 핵심 측근은 “당선인은 창피주기·인신공격성 청문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박근혜 정부가 국회를 국정의 한 축으로 존중할 테니, 국회도 민주적 절차에 따라 표결이 이뤄지는 정상적 관행을 만들어 달라는 당부를 한 것일 뿐이다. 절대 이동흡 감싸기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첫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낙마한 뒤 총리 및 장관 후보자 지명이 늦어지면서 정상적인 정부 출범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야당에 일정한 책임을 넘기려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 새누리당 한 최고위원은 “최근 박 당선인의 청문제도 비판에 대해 당에서도 ‘적절치 않다’는 얘기가 나왔고, 당선인도 직접 발언을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오늘 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라는 공개된 장소에서 표결까지 언급한 것은 다른 정치적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준 후보자 낙마 이후 예비후보들이 공직 진출을 꺼리면서 인재찾기에 한계를 느낀 박 당선인이 현실적 고충을 털어놓은 것이란 해석도 있다. 당선인의 다른 참모는 “언론은 인선을 서두르라 하지만 후보로 거론된 인물들이 검증동의서 제출을 거부하는 등 인선에 상당한 고충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안다. 당선인은 당연히 문제의식을 표출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박 당선인이 최근 강원, 경남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죄인 심문하듯 몰아친다”며 인사청문제도를 비판한 연장선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총리 후보자와 17개 부처 장관, 권력기관장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야당의 검증 공세를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큰 것 같다. 김용준 후보자 낙마 이후 부실 검증 논란에 휩싸이며 정부 출범도 하기 전에 상당한 정치적 타격을 입은 박 당선인이 인사청문 제도와 방식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를 반복하면서 녹록지 않은 ‘검증 파고’를 넘어보려는 계산이란 얘기다. 박 당선인은 5일 새누리당 경북지역 의원들과의 오찬에서 “김용준 후보자 때 잘됐으면 좋았을 텐데…. (김 후보자 낙마로) 인선이 더 어려워졌다. 국회 인사청문회가 걱정이다. 내가 (국무총리·장관 등의) 인선을 하면 청문 과정에서 여러분이 잘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 의원은 “당선인이 앞으로 지명할 공직 후보자들이 청문회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은 것 같았다”고 전했다. 박 당선인의 발언이 검증 국면을 염두에 둔 전술적 발언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에겐 ‘이동흡 구하기’로 비칠 수밖에 없다. 이는 박 당선인으로서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국회 표결을 통한 ‘이동흡 후보자 털어내기’ 전략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당선인의 한 참모는 “이동흡 후보자는 새누리당 안에서도 비판론이 적지 않아 표결을 해도 부결될 가능성이 있다. 차라리 표결을 통해 털고 가는 게 더 나은 선택 아니냐”고 말했다. 당선인 주변에선 이명박 대통령이 지명철회를 하지 않겠다고 하고, 이동흡 후보자도 버티겠다고 하는데 자유표결을 통한 부결밖에 대안이 없으니, 부결을 전제로 야당과 협상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최진실 사망 전날 함께 있던 기자 “마지막 말은…”
■ ‘이동흡 구하기’ 나선 박근혜, 노림수는?
■ 값 떨어진 변호사…이번엔 7급공무원 채용?
■ “삼성 화성공장 인근 식물서 불산 나와”
■ MB사돈, 사기 혐의로 피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