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전 의원
민주당 당권도전 포기선언
“친노·주류, 비주류보다 책임 크다” 문 전 후보 캠프핵심 자성 목소리
“친노·주류, 비주류보다 책임 크다” 문 전 후보 캠프핵심 자성 목소리
‘친노 대리후보’ 비난 제일 아파
“분열 갈등 아닌 당 재건이 이슈되길”
‘반 김한길 연대’ 등 경쟁구도 변할듯 “‘친노 대 비노’, ‘대선 패배 책임’ 공방은 저를 끝으로 그만 했으면 좋겠다. 당의 재건 방향,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와의 관계설정 등이 중심 이슈가 되기를 바란다.” 11일 민주통합당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5·4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김부겸 전 의원은 “정말 당내 경쟁의 질을 올렸으면 좋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유력한 차기 당권 주자로 주목받던 자신의 불출마 선언을 계기로 당권 경쟁구도가 전환되고, 당이 진정으로 거듭나길 바란다는 것이다. 그의 목소리는 담담했다. 하지만 메시지는 절절했다. 그가 당원·기자들에게 전자우편으로 보낸 ‘불출마의 변’에선 당권 도전을 접기까지 고심의 흔적들이 묻어났다. “제일 아픈 게 ‘김부겸은 친노의 대리후보’라는 소리였다. 친노 대 반노로 싸우는 전대 뒤엔 분당이다. ‘어떻게 된 당이 대선에서 지고도 책임지는 자 하나 없는가?’라는 질타도 아팠다. 저도 패배의 책임이 크다. 부끄럽다.”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의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낸 그는 당의 분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대선 패배 책임에 대한 자인을 불출마의 두 가지 배경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는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두 가지의 의미를 좀 더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먼저 “저의 불출마로 당이 친노와 반노로 나뉘어 갈등하는 상황이 끝나기를 바랐다”고 말했다. “친노 대리인으로 규정된 제가 당선되면, 과연 진 쪽이 승복할지 확신할 수 없었다. 자칫 안 전 교수의 움직임과 결부돼 당이 깨질 수도 있다고 봤다. 그것만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주류 또한 대선 패배의 책임을 깨끗이 먼저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전 후보 캠프의 핵심인사 가운데 대선 패배 책임을 공식 사과한 것은 그가 처음이다. “어떤 선배들은 ‘왜 당신이 패배 책임을 다 지려 하느냐, 억울하지 않느냐’고 했다. 하지만, 나도 공동 선대위원장과 본부장을 했고 그만큼 책임이 있다. 이른바 ‘친노·주류’도 적어도 비주류보다는 더 책임이 있는 게 사실이 아닌가?” 그러면서 그는 “이제 주류건 비주류건 과거를 두고 다투는 분열의 길이 아니라, 미래와 화해의 길로 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당이 나아가야 할 길로는 두 가지를 제시했다. “지금 민주당엔 정치적 상상력과 민중성, 애국심 등의 가치가 보이지 않는다. 이걸 회복해야 한다. 민주당은 또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하고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내놓는 실천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친노·주류의 연대 대상으로 거론돼온 김 전 의원의 불출마로 당권 경쟁 구도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일부에선 비주류 쪽 대표 주자인 김한길 전 최고위원에 맞선 범주류 그룹 주자들의 ‘반 김한길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전 의원은 “이제 누가 되는지는 제 소관 사항이 아니다. 전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구 수성갑에서 겸허하게 바닥을 다지려 한다”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분열 갈등 아닌 당 재건이 이슈되길”
‘반 김한길 연대’ 등 경쟁구도 변할듯 “‘친노 대 비노’, ‘대선 패배 책임’ 공방은 저를 끝으로 그만 했으면 좋겠다. 당의 재건 방향,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와의 관계설정 등이 중심 이슈가 되기를 바란다.” 11일 민주통합당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5·4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한 김부겸 전 의원은 “정말 당내 경쟁의 질을 올렸으면 좋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유력한 차기 당권 주자로 주목받던 자신의 불출마 선언을 계기로 당권 경쟁구도가 전환되고, 당이 진정으로 거듭나길 바란다는 것이다. 그의 목소리는 담담했다. 하지만 메시지는 절절했다. 그가 당원·기자들에게 전자우편으로 보낸 ‘불출마의 변’에선 당권 도전을 접기까지 고심의 흔적들이 묻어났다. “제일 아픈 게 ‘김부겸은 친노의 대리후보’라는 소리였다. 친노 대 반노로 싸우는 전대 뒤엔 분당이다. ‘어떻게 된 당이 대선에서 지고도 책임지는 자 하나 없는가?’라는 질타도 아팠다. 저도 패배의 책임이 크다. 부끄럽다.”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의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낸 그는 당의 분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대선 패배 책임에 대한 자인을 불출마의 두 가지 배경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는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두 가지의 의미를 좀 더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먼저 “저의 불출마로 당이 친노와 반노로 나뉘어 갈등하는 상황이 끝나기를 바랐다”고 말했다. “친노 대리인으로 규정된 제가 당선되면, 과연 진 쪽이 승복할지 확신할 수 없었다. 자칫 안 전 교수의 움직임과 결부돼 당이 깨질 수도 있다고 봤다. 그것만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주류 또한 대선 패배의 책임을 깨끗이 먼저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전 후보 캠프의 핵심인사 가운데 대선 패배 책임을 공식 사과한 것은 그가 처음이다. “어떤 선배들은 ‘왜 당신이 패배 책임을 다 지려 하느냐, 억울하지 않느냐’고 했다. 하지만, 나도 공동 선대위원장과 본부장을 했고 그만큼 책임이 있다. 이른바 ‘친노·주류’도 적어도 비주류보다는 더 책임이 있는 게 사실이 아닌가?” 그러면서 그는 “이제 주류건 비주류건 과거를 두고 다투는 분열의 길이 아니라, 미래와 화해의 길로 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당이 나아가야 할 길로는 두 가지를 제시했다. “지금 민주당엔 정치적 상상력과 민중성, 애국심 등의 가치가 보이지 않는다. 이걸 회복해야 한다. 민주당은 또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에 집중하고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내놓는 실천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 친노·주류의 연대 대상으로 거론돼온 김 전 의원의 불출마로 당권 경쟁 구도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일부에선 비주류 쪽 대표 주자인 김한길 전 최고위원에 맞선 범주류 그룹 주자들의 ‘반 김한길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전 의원은 “이제 누가 되는지는 제 소관 사항이 아니다. 전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구 수성갑에서 겸허하게 바닥을 다지려 한다”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