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민주통합당 혁신 방안’ 발표회에서 발언대로 향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상향식 대의원선출’ 적용 2년 늦춰
혁신위 “기득권 주장” 지도부 비판
혁신위 “기득권 주장” 지도부 비판
민주통합당 정치혁신위원회(위원장 정해구)가 13일 권리당원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고, 대의원을 권리당원이 사실상 상향식으로 선출하는 내용의 획기적인 혁신안을 발표했다. 지역위원장은 외부 위원 절반 이상을 포함한 조직강화특위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추천하되, 경선은 권리당원 전원이 하도록 했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은 대의원, 권리당원, 일반당원 등 당원과 지지자(민주 서포터스)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되 지지자 비중은 최대 20%를 넘지 않도록 했다.
민주당은 현재 지역위원장이 대의원을 임명하고 있기 때문에 당내 선거에서 지역위원장을 많이 확보하는 후보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따라서 혁신위의 안이 실현될 경우 계파 보스들이 과점하고 있는 현행 당내 질서가 크게 흔들리게 된다.
그동안 혁신위는 당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 이번 5·4 전당대회부터 혁신안을 곧바로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해 왔다. 하지만 혁신위와 전당대회준비위 사이에 갈등이 벌어졌고, 문희상 위원장이 이끄는 비대위가 지난달 18일 ‘이번 전당대회는 기존 방식대로 대의원을 선출하고, 대의원 50%, 권리당원 30%, 여론조사 20%로 지도부를 선출한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5·4 전당대회도 후보들이 지역위원장을 확보하기 위해 계파 싸움을 벌이는 구태가 사라지지 않게 됐다.
혁신위는 비대위의 이런 결정에 대해 매우 불만스런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정해구 위원장은 이날도 “결국 각 계파의 이해관계 때문에 당 지도부가 혁신위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혁신위의 문용식 위원은 “아파트 전체가 무너져 내리고 있는데 한 칸씩 방을 차지하고 앉은 사람들이 기득권을 주장하고 있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은 고사하고 도배질이나 하고 마는 셈이 됐다”고 비판했다. 혁신위원 중에는 아예 활동을 중단한 사람도 있다.
혁신위는 앞으로 1주일 동안 의원과 지역위원장들의 의견을 듣고 혁신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2년 뒤 전당대회 규칙을 정하는 일이라 의원이나 지역위원장들의 관심을 끌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지적장애 여국화씨가 ‘아빠‘한테 당한 ‘7년의 지옥’
■ 30억년 전 화성에 담수호?
■ 새누리당 이준석 ‘노원병 출마 안할 것’
■ 깊이 1000m 해저서… 일본, 세계 첫 메탄가스 시추 성공
■ 간이중앙분리대, 교통사고 예방 ‘효자’
■ 지적장애 여국화씨가 ‘아빠‘한테 당한 ‘7년의 지옥’
■ 30억년 전 화성에 담수호?
■ 새누리당 이준석 ‘노원병 출마 안할 것’
■ 깊이 1000m 해저서… 일본, 세계 첫 메탄가스 시추 성공
■ 간이중앙분리대, 교통사고 예방 ‘효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