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테러의 진상을 밝히려는 범정부적인 노력이 진행되는 가운데,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21일 별다른 근거도 없이 “북한 소행일 가능성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해 눈총을 샀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사이버테러가) 북한 소행일 가능성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모든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추적·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든 가능성”이라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마치 청와대가 북한을 사이버테러의 ‘범인’으로 의심하고 있는 것처럼 발언한 것이다. 그는 ‘의구심의 근거가 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의심하는) 배경에 대해선 여러분도 다 알지 않나. 북한 소행일 가능성에 강한 의구심을 갖는 건 당연한 것”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이건 제 (이름으로) 쿼트(인용)로 하지 말라”는 말도 덧붙였다.
이 핵심 관계자의 발언 근거를 확인해달라는 기자들의 요청에,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그건 아니다. 왜 갑자기 북풍을 만들려고 하느냐”고 반문했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내정자도 “전문 해커집단의 소행인지, 북한의 소행인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중이다. (누가 했는지를 밝히는 데는) 시간이 꽤 걸리고, 해커의 특성상 아예 파악을 못 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이버 테러 대응의 총책임자인 김 내정자의 태도는 ‘핵심 관계자’의 태도와 사뭇 달랐다.
이 관계자는 다른 현안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회의가 열린다고 매번 기사가 있는 게 아니다. 영양가도 없는, 시간만 낭비하는 (건 안 하고) 기사거리만 쫙 뽑아온다”며 동문서답을 하기도 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