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춘 전의원 ‘반성문’
“약자대변 소명 부응하지 못해”
“약자대변 소명 부응하지 못해”
“민주당 386 정치인들은 당 운영을 주도한 적이 없다. 오히려 과거 운동정신을 망각한 채 뿔뿔이 흩어져서 각기 다른 지도자들을 추종한 속물적 계파정치에의 매몰이 문제다. 지난 수년간 정치적 견해에 따른 정파활동보다는 다른 정치인들과 마찬가지로 줄서기, 줄잡기에 급급한 행태를 보였다. 불공정한 특권구조의 해체와 사회경제적 약자의 대변이라는 소명에 부응하지 못했다.”
김영춘 전 민주당 의원이 ‘386 책임론’을 인정하고 참회하는 내용의 반성문을 썼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5월호에 기고한 ‘보수정치 시대와 386 정치인의 시대정신’이라는 글이다. 김 전 의원은 “민주당의 보수적 토대 속에서 그나마 386만이 민주당의 시대적 책임 수행을 견인할 수 있는 집단이었다. 공정한 기회의 보장과 사회경제적 약자의 정의를 지켜주는 일은 민주당 내부 보수정치인들의 몫이 아니라 386 정치인들의 역할”이라고 ‘386 책임론’을 인정했다.
김 전 의원은 그런 민주당 386 정치인들이 두 가지 잘못을 저질렀다고 고백했다. 첫째, 정치적 민주주의와 권력교체 그리고 추상적 정의에만 몰두해,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시정을 요구해 온 근로대중과 자영업자들의 권익을 대변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둘째, 진정한 민주주의자(혹은 진보주의자)라면 당연히 북한체제의 문제점들, 특히 봉건적 전제정치, 권력세습 등에 대해 단호하게 비판적 입장을 천명하고, 북한인민의 인권과 민주적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전 의원은 “386 정치인들이 과거의 이념적 고정관념을 벗어나 과학적 자세로 철저하게 실증하고 공부하는 정치인으로 거듭났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정련된 대안을 집단 실천하는 정파적 정체성을 가졌으면 좋겠다. 그 길에 민주당이, 진보정치가 되살아날 희망이 기다리고 있다”고 결론을 맺었다.
김 전 의원은 1961년생으로 1984년 고려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전형적인 ‘386 출신’ 정치인이다. 2000년 서울 광진갑에서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당선됐지만, 2003년 열린우리당으로 당적을 옮겼고, 2004년 재선됐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후보로 부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일베는 똥밭” 4만6174개 글 분석한 ‘일베 리포트’ 화제
■ 조양호 한진 회장 맏딸 조현아 부사장, 미국 원정출산 논란
■ 대구 여대생 납치 살해범은 택시기사? 제3의 인물?
■ ‘위안부 망언’ 하시모토, 일본 정치권에서도 왕따…당 지지율 급락
■ [화보] 레바논전 앞둔 최강희호 훈련 구슬땀
■ “일베는 똥밭” 4만6174개 글 분석한 ‘일베 리포트’ 화제
■ 조양호 한진 회장 맏딸 조현아 부사장, 미국 원정출산 논란
■ 대구 여대생 납치 살해범은 택시기사? 제3의 인물?
■ ‘위안부 망언’ 하시모토, 일본 정치권에서도 왕따…당 지지율 급락
■ [화보] 레바논전 앞둔 최강희호 훈련 구슬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