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새누리당 의원(맨 오른쪽)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청와대를 비판하는 동안 황우여 대표(왼쪽 둘째)와 최경환 원내대표(맨 왼쪽)가 긴장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이재오 의원 “말 가려야” 직격탄
‘대선불복 공세’ 홍보수석 꼬집어
사실상 박 대통령 겨냥
당내 친박계도 “동감” 맞장구 김무성·정몽준 등 중진들
‘현오석 경제팀 무능’ 질타 과거 친이명박계의 좌장으로 꼽히던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이 17일 민주당 의원들의 ‘대선 불복성’ 발언을 빌미삼아 정쟁의 전면에 나선 청와대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최근 청와대가 야당과의 대립 전선을 주도하고, 여당은 청와대의 뜻에 따라 일방적으로 ‘동원’되는 상황을 지적한 것으로, 당내 상당수 의원들이 공감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대통합과 일자리 창출이 급한데 청와대가 정쟁의 중심에 서면 되겠는가. 청와대는 말을 가려야 한다. 요즘 청와대에서 나오는 논평을 보면, 저도 당의 원내대표도 해보고 다 해봤지만, 감당이 안 될 정도다”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의원들의 잇단 돌출성 발언을 ‘대선 불복’으로 규정해 연일 야당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의 행태를 문제삼은 것이다. 이 수석의 발언에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박 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또 “싸움은 청와대가 벌여놓고 여당은 야당하고 맞붙어 싸워야 하고, 이래서는 안 된다. 여당 대변인보다 더 세게 청와대가 치고 나가면 여당이 할 것이 있겠는가. 결국 여당이 아무리 노력을 해도 국민들에게 여당이 무능하게 비쳐진다”고 했다. 청와대가 야당과의 정쟁을 촉발하고, 여당은 청와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상황을 꼬집은 것이다. 이 의원은 아울러 “권력기관이 정치에 과도하게 개입해서는 안 된다”며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양건 감사원장의 자진 사퇴도 촉구했다. 공개적으로 의사표시는 하지 않아도 친이계뿐 아니라 친박계 의원들도 이 의원의 문제의식에 동의하고 있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이 의원의) 말은 사실 구구절절 맞다. 아무도 그걸 말할 용기가 없었던 것이다. 당내에선 예상보다 큰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친박계 한 초선 의원도 “이 의원의 지적에 동감한다.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여러 가지 챙길 것도 많은 청와대가 전면에 나서 정쟁을 이끌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당한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태도가 여당의 입지를 좁힌다는 비판도 나왔다. 당직을 맡고 있는 한 초선 의원은 “청와대가 너무 즉각적으로 강하게 나오니까, 여당으로선 여지가 없었다. 청와대를 따라가자니 야당을 코너로 몰게 되는데, 당 지도부는 야당을 그렇게 몰아세우는 게 현명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무성·정몽준 의원 등 중진들은 ‘경제위기론’을 거론하며 ‘현오석 경제팀’의 정책 대응을 비판했다. 김 의원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일부 외국 금융기관과 지엠(GM) 같은 기업이 한국을 탈출하려 해 경제 전망이 매우 비관적이다. 현 정부 경제팀으로는 난제 해결의 리더십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의원도 “전세계 많은 선진국은 앞으로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복지정책과 공공부분을 개혁하고, 국가부채를 줄이고, 기업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흐름과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수헌 김남일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출구 계단 1m 바로 앞에서 발견된 ‘노량진 참사’ 실종자 주검
■ ‘사형 구형’에서 ‘재산 압류’까지…전두환과 채동욱의 ‘악연’
■ ‘전시작전권 환수’ 박 대통령 공약 결국 ‘빈 약속’ 되나
■ 여기자들 앞에서 “처녀가 임신하는…”, 민주당 의원 또 ‘망발’
■ [화보] 경복궁에서 한-일 투견대회가…그때 그시절 경복궁에선 ‘별의별 일’들이
‘대선불복 공세’ 홍보수석 꼬집어
사실상 박 대통령 겨냥
당내 친박계도 “동감” 맞장구 김무성·정몽준 등 중진들
‘현오석 경제팀 무능’ 질타 과거 친이명박계의 좌장으로 꼽히던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이 17일 민주당 의원들의 ‘대선 불복성’ 발언을 빌미삼아 정쟁의 전면에 나선 청와대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최근 청와대가 야당과의 대립 전선을 주도하고, 여당은 청와대의 뜻에 따라 일방적으로 ‘동원’되는 상황을 지적한 것으로, 당내 상당수 의원들이 공감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대통합과 일자리 창출이 급한데 청와대가 정쟁의 중심에 서면 되겠는가. 청와대는 말을 가려야 한다. 요즘 청와대에서 나오는 논평을 보면, 저도 당의 원내대표도 해보고 다 해봤지만, 감당이 안 될 정도다”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의원들의 잇단 돌출성 발언을 ‘대선 불복’으로 규정해 연일 야당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의 행태를 문제삼은 것이다. 이 수석의 발언에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박 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또 “싸움은 청와대가 벌여놓고 여당은 야당하고 맞붙어 싸워야 하고, 이래서는 안 된다. 여당 대변인보다 더 세게 청와대가 치고 나가면 여당이 할 것이 있겠는가. 결국 여당이 아무리 노력을 해도 국민들에게 여당이 무능하게 비쳐진다”고 했다. 청와대가 야당과의 정쟁을 촉발하고, 여당은 청와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상황을 꼬집은 것이다. 이 의원은 아울러 “권력기관이 정치에 과도하게 개입해서는 안 된다”며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양건 감사원장의 자진 사퇴도 촉구했다. 공개적으로 의사표시는 하지 않아도 친이계뿐 아니라 친박계 의원들도 이 의원의 문제의식에 동의하고 있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이 의원의) 말은 사실 구구절절 맞다. 아무도 그걸 말할 용기가 없었던 것이다. 당내에선 예상보다 큰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친박계 한 초선 의원도 “이 의원의 지적에 동감한다.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여러 가지 챙길 것도 많은 청와대가 전면에 나서 정쟁을 이끌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당한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태도가 여당의 입지를 좁힌다는 비판도 나왔다. 당직을 맡고 있는 한 초선 의원은 “청와대가 너무 즉각적으로 강하게 나오니까, 여당으로선 여지가 없었다. 청와대를 따라가자니 야당을 코너로 몰게 되는데, 당 지도부는 야당을 그렇게 몰아세우는 게 현명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무성·정몽준 의원 등 중진들은 ‘경제위기론’을 거론하며 ‘현오석 경제팀’의 정책 대응을 비판했다. 김 의원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일부 외국 금융기관과 지엠(GM) 같은 기업이 한국을 탈출하려 해 경제 전망이 매우 비관적이다. 현 정부 경제팀으로는 난제 해결의 리더십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의원도 “전세계 많은 선진국은 앞으로 경제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복지정책과 공공부분을 개혁하고, 국가부채를 줄이고, 기업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흐름과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수헌 김남일 기자 minerv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출구 계단 1m 바로 앞에서 발견된 ‘노량진 참사’ 실종자 주검
■ ‘사형 구형’에서 ‘재산 압류’까지…전두환과 채동욱의 ‘악연’
■ ‘전시작전권 환수’ 박 대통령 공약 결국 ‘빈 약속’ 되나
■ 여기자들 앞에서 “처녀가 임신하는…”, 민주당 의원 또 ‘망발’
■ [화보] 경복궁에서 한-일 투견대회가…그때 그시절 경복궁에선 ‘별의별 일’들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