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명 국민참여연대 고문. 이용호 기자
노무현후원회장 출신 이기명씨 “집권하려면…” 독설훈수
노무현 대통령의 후원회장을 지낸 대표적인 ‘친노’인사 이기명 국민참여연대 고문이 정적인 한나라당이 재집권을 하기 위한 정치적 과제에 대해 우정어린(?) 충고를 내놔 눈길을 끌었다. 이씨는 “국보법·과거사·지역감정을 풀고 김용갑·전여옥·정형근 의원등은 집권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퇴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23일 인터넷신문 <데일리서프라이즈>에 ‘한나라당! 집권할 생각 있으면 이렇게 하라’라는 기고를 통해 “도저히 질 수 없다고 철석같이 믿었던 선거에서 두번이나 연패한 한나라당에게 다음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조언하겠다”고 밝혔다.
이씨는 기고에서 “한나라당이 집권할 수 있는 천기를 누설한 해당행위를 했다”고 너스레를 떨었지만 한나라당이 집권을 위해 청산해야 할 당내 인물과 정치적 과제 등에 대해 뼈있는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
국보법 사수·과거사 문제 집권 위해 첫번째 버려야 이씨는 한나라당이 집권을 위해 첫번째 버려야 할 것으로 ‘국가보안법 사수’라고 충고했다. 이씨는 “보수 꼴통들의 표가 아쉬워서 국보법 폐지를 못한다면 뼈다귀만 남은 국가보안법 끼고 백년천년 소수당으로 살아 보라고 하고 싶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국가보안법 폐지에 한나라당이 앞장서 보라. 열린우리당을 지지하던 사람들과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는 세력들이 목숨이라도 바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또 “국보법 폐지만 나오면 기절해 자빠지는 김용갑 의원을 비롯해 이철우 의원이 간첩활동을 하고 있다고 대낮에 신성한 국회의사당에서 용감하게 거짓말을 늘어놓은 주성영 의원을 비롯한 3인방은 한나라당에 필요치 않는 의원으로 퇴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씨는 개혁입법과 관련해 “추악한 과거는 털고가야 한다. 세상에 비밀이 없고 더러운 과거는 주체못할 무거운 짐이다. 친일문제를 비롯한 군사독재 시절의 온갖 죄악들이 백일하에 드러나고 있다. 빨리 정리할수록 한나라당에 이롭다”고 충고했다. 이씨는 박근혜 대표를 겨냥해 “박근혜 대표가 (과거사 규명에) 앞장을 섰다면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라며 “그렇게 되었다면 나도 박 대표를 지지했을지 모른다”고 비꼬았다. ‘고문감초’ 정형근, ‘강경파 기수’ 김문수
“전여옥 입을 보면 소름이 끼친다” 이씨는 한나라당이 ‘국보법 사수’, ‘과거사’와 함께 집권을 위해 털어내야 할 인물로 허태열 의원, 전여옥 대변인, 김문수 의원 등을 지목했다. 이씨는 “고문 얘기만 나왔다 하면 약방의 감초처럼 빠질 줄 모르는 정형근 의원님, 노동자의 친구라면서 노동자 아니면 죽고 못살 것 같던 강경파의 기수 김문수 의원님, 지역감정 하면 반드시 선두 자리에 모셔야 할 허태열 의원님, 노무현 대통령의 관한 것이면 거의 물 불 안 가리고 이를 가는 전여옥 대변인님”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나 이씨는 “고진화 의원이나 원희룡 의원 같은 사람이 한나라당을 대표한다면 국민들도 괜찮은 눈으로 볼 것”이라고 추켜세웠다. 이씨는 특히 전여옥 대변인과 관련해 “전여옥 대변인의 입을 보고 있으면 소름이 끼친다”며 “어쩌면 그렇게 증오를 담아 대변인 논평을 내는가. 대변인이란 직책은 상대당의 증오심만 자극하는 것인가”라고 캐물었다. 이씨는 이어 “한나라당의 열성 지지자들은 업고 다니고 싶을지 모르나 정작 지지를 끌어내야 할 국민들로부터는 상당한 혐오감을 자아내는 대변인이 과연 바람직한 대변인 상인가”라며 “장사는 이문을 먹자고 하는 것인데 나는 전여옥 대변인으로 해서 ‘한나라당’이 이득을 본다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는다. 결론은 전여옥 대변인은 부적격”이라고 충고했다. “지역감정 못풀면 최초 여성대통령은 꿈” 이씨는 지역갈등에 대해 “한나라당이 지역갈등을 부추겨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표는 얼마나 되는가. 영남 표뿐이다”며 “영남이라는 ‘보증수표’를 들고 정치를 하겠다는 생각을 깨끗이 털어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씨는 “ 한나라당은 이제부터 각급 선거에서 지역갈등의 위험성이 있는 행위는 일체 하지 말아야 한다”며 “특히 영남지역에서 지역감정 선동 전과가 있는 인물은 절대로 공천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씨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손학규 이명박은 물론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꿈꾸고 있는 박근혜도 꿈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만약에 한나라당이 오늘의 모양 그대로 여당의 발목이나 잡고 의사당에서 땡깡이나 부리며 지내길 원한다면 한나라당에 대한 기대는 접을 것”이라며 “그 다음 한나라당은 한 지역에 매달려 민족분열을 추구하며 구차하게 명맥을 이어가는 ‘정치패거리’로 남을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라며 충고를 마무리했다. <한겨레> 온라인뉴스부 박종찬 기자 pjc@hani.co.kr
국보법 사수·과거사 문제 집권 위해 첫번째 버려야 이씨는 한나라당이 집권을 위해 첫번째 버려야 할 것으로 ‘국가보안법 사수’라고 충고했다. 이씨는 “보수 꼴통들의 표가 아쉬워서 국보법 폐지를 못한다면 뼈다귀만 남은 국가보안법 끼고 백년천년 소수당으로 살아 보라고 하고 싶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국가보안법 폐지에 한나라당이 앞장서 보라. 열린우리당을 지지하던 사람들과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는 세력들이 목숨이라도 바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또 “국보법 폐지만 나오면 기절해 자빠지는 김용갑 의원을 비롯해 이철우 의원이 간첩활동을 하고 있다고 대낮에 신성한 국회의사당에서 용감하게 거짓말을 늘어놓은 주성영 의원을 비롯한 3인방은 한나라당에 필요치 않는 의원으로 퇴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씨는 개혁입법과 관련해 “추악한 과거는 털고가야 한다. 세상에 비밀이 없고 더러운 과거는 주체못할 무거운 짐이다. 친일문제를 비롯한 군사독재 시절의 온갖 죄악들이 백일하에 드러나고 있다. 빨리 정리할수록 한나라당에 이롭다”고 충고했다. 이씨는 박근혜 대표를 겨냥해 “박근혜 대표가 (과거사 규명에) 앞장을 섰다면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라며 “그렇게 되었다면 나도 박 대표를 지지했을지 모른다”고 비꼬았다. ‘고문감초’ 정형근, ‘강경파 기수’ 김문수
“전여옥 입을 보면 소름이 끼친다” 이씨는 한나라당이 ‘국보법 사수’, ‘과거사’와 함께 집권을 위해 털어내야 할 인물로 허태열 의원, 전여옥 대변인, 김문수 의원 등을 지목했다. 이씨는 “고문 얘기만 나왔다 하면 약방의 감초처럼 빠질 줄 모르는 정형근 의원님, 노동자의 친구라면서 노동자 아니면 죽고 못살 것 같던 강경파의 기수 김문수 의원님, 지역감정 하면 반드시 선두 자리에 모셔야 할 허태열 의원님, 노무현 대통령의 관한 것이면 거의 물 불 안 가리고 이를 가는 전여옥 대변인님”이라고 비꼬았다. 그러나 이씨는 “고진화 의원이나 원희룡 의원 같은 사람이 한나라당을 대표한다면 국민들도 괜찮은 눈으로 볼 것”이라고 추켜세웠다. 이씨는 특히 전여옥 대변인과 관련해 “전여옥 대변인의 입을 보고 있으면 소름이 끼친다”며 “어쩌면 그렇게 증오를 담아 대변인 논평을 내는가. 대변인이란 직책은 상대당의 증오심만 자극하는 것인가”라고 캐물었다. 이씨는 이어 “한나라당의 열성 지지자들은 업고 다니고 싶을지 모르나 정작 지지를 끌어내야 할 국민들로부터는 상당한 혐오감을 자아내는 대변인이 과연 바람직한 대변인 상인가”라며 “장사는 이문을 먹자고 하는 것인데 나는 전여옥 대변인으로 해서 ‘한나라당’이 이득을 본다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는다. 결론은 전여옥 대변인은 부적격”이라고 충고했다. “지역감정 못풀면 최초 여성대통령은 꿈” 이씨는 지역갈등에 대해 “한나라당이 지역갈등을 부추겨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표는 얼마나 되는가. 영남 표뿐이다”며 “영남이라는 ‘보증수표’를 들고 정치를 하겠다는 생각을 깨끗이 털어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씨는 “ 한나라당은 이제부터 각급 선거에서 지역갈등의 위험성이 있는 행위는 일체 하지 말아야 한다”며 “특히 영남지역에서 지역감정 선동 전과가 있는 인물은 절대로 공천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씨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손학규 이명박은 물론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꿈꾸고 있는 박근혜도 꿈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만약에 한나라당이 오늘의 모양 그대로 여당의 발목이나 잡고 의사당에서 땡깡이나 부리며 지내길 원한다면 한나라당에 대한 기대는 접을 것”이라며 “그 다음 한나라당은 한 지역에 매달려 민족분열을 추구하며 구차하게 명맥을 이어가는 ‘정치패거리’로 남을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라며 충고를 마무리했다. <한겨레> 온라인뉴스부 박종찬 기자 pj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